수지침요법

대장암 수술전후의 고려수지침요법 효과’논문

천부(泉扶) 2007. 3. 28. 15:49

암 수술후 건강관리에 수지요법 큰 도움

 

Ⅰ. 서론


우리나라에서 대장암 발생률은 식생활의 서구화에 따라 점차 증가하고 있다.

대장암에 의한 사망은 남성의 경우 위암ㆍ폐암ㆍ간암에 이어 네 번째이며, 여성의 경우도 유사하다. 자신이 평생 동안 대장암에 걸릴 확률은 10~15%에 이르게 된다.

대장암은 40세 이후에 발생이 증가하고, 50대가 가장 많고 60대가 그 뒤를 잇고 있다.

유럽이나 미국에 비해 연령이 10살 정도 어린 경향이 있다. 5~10%의 빈도로 30대의 젊은 사람들도 발생하며, 젊은 층에서 나타나는 대장암은 가족 사이에서 많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암이란, 인체 내에서 비정상 세포가 생체기능에 불필요하게 증식하여 인접조직을 파괴하거나
내분비적, 또는 화학적으로 장애를 일으키고, 다른 부위까지 옮겨 증식하는 능력을 가진 질환을 말한다. 암 말기에는 극심한 통증과 항암치료의 부작용으로 큰 고통을 겪게 된다.

대장암 수술 전후의 통증과 회복에 우수한 고려수지침요법을 통해 효과적인 시술법을 연구하고자 한다.


Ⅱ. 본론

1. 대장


대장은 소화ㆍ흡수되고 남은 음식물이 머무르는 곳으로, 수분을 흡수하여 대변으로 만들며, 여러 종류의 많은 세균이 살고 있다. 길이는 약 2m이며 결장과 직장, 항문으로 이루어진다.

대장점막이 있는 곳이면 어디서나 암이 생기지만 암이 생기기 쉬운 부위는 S상결장과 직장이다.

2.대장암 발생원인
전체 대장암의 약 10~30%를 차지하는 유전성 요인과 환경적인 요인이 있다.

1) 유전성 요인
20~30대에 수백 개에서 수천 개의 선종이 대장에 발생하여 설사 복통, 직장, 출혈 일으킴.

2) 환경적 요인
① 과다한 지방섭취, 과도한 열량, 육류소비(특히 붉은 고기) 등
② 앉아서 일하는 직업은 대장암 발생위험이 증가, 정기적인 운동은 대장암의 예방효과
③ 비만, 특히 복부비만이 대장암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④ 맥주 소비와 직장암과 연관, 흡연도 대장암의 발생과 관련이 있다

3. 대장암의 특징
증세가 늦게 나타나며, 나타나더라도 단순 변비나 치질로 오인해 적절한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대장암은 간으로의 전이가 50% 이상으로, 다발성 전이가 된 경우 완치가 어렵다.


4.대장암의 주요증상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증상을 보인다.
① 변비나 설사와 같은 배변습관의 변화

② 변의 굵기가 가늘어지는 현상

③ 복통, 소화불량, 복부팽만

④ 혈변이나 점액이 포함된 변

⑤ 복부에서 덩어리가 만져짐

⑥ 특별한 이유 없이 체중이 감소된다

⑦ 빈혈 증상 ⑧ 일반적인 소화장애 증상

⑨ 항상 피곤하다

⑩ 구토 등 장 폐색증상



5.병기분류
0기: 암이 점막에만 국한된 경우
1기: 암이 대장벽에만 있는 경우
2기: 암이 대장벽을 넘어섰지만 인접장기까지 미치지 않은 경우
3기: 암이 인접장기에 침윤하거나 임파선 전이가 일어난 경우
4기: 복막, 간, 폐 등으로 원격전이가 일어난 경우

6. 대장암의 예방과 치료

1) 양의학적 치료
① 근치적 수술요법

② 항암제 투여 혹은 방사선 치료

2) 고려수지의학적 치료
① 서암뜸 요법

② 발지압판 운동

③ 수지음식

④ 전자빔



7. 임상사례
1)대장암 말기(78ㆍ여)


▷증상: 평소 건강하던 분이 갑자기 기운이 없고, 식욕이 떨어져 복부를 진단해 보니 배꼽 아래쪽이 전부 딱딱함. 대장암 말기(간과 폐로 전이)로 6개월 시한부 판정.


▷처방: 수지침용 뜸(황토서암뜸)-임기맥선으로 양쪽 3줄씩 좌?우??손에 매일 7~8장씩 뜸 뜨기 시작함.


▷효과: 서암뜸을 뜨기 시작한 후 6개월 정도가 지나자 식욕이 돌아와 건강이 회복돼 친구분들 만나러 나들이도 할 수 있게 됐다. 그 후 꾸준히 3년 6개월간 서암뜸으로 건강을 관리하며 병원의 검진결과 다른 장기로 전이 되었는데도 건강하게 생활함에 의사들이 놀라워함.

2)대장암 2기(72ㆍ여)


▷증상: 40대부터 알레르기 천식과, 60대에는 고혈압으로 약 복용.
- 심한 복통으로 CT 조직검사 후 대장암2기 판정, S상결장 위에 암 덩어리.
- 대장지름 5㎝의 5배 확장되어 있어 대장을 줄여 수술하여야 하나, 뚜렷한 방법이 없음.


▷처방: 운기체질 - 좌 비허 대장실, 우 신허 담실.


▷수지침- 좌 대장승방 신정방, 우 페승방 삼초승방, E22, 24 다침.


▷부항요법- 척추 양옆 유혈, 거궐?기문에 건부항 20분.


▷효과: 수지침요법과 염파요법으로 장이 줄어서 대장암 수술 횟수를 줄임(2회 1회).


▷관리: 수지침용 뜸(특상황토서암뜸, 1일2회 200장씩), 기본방과 독기맥(B1?, 7?4?9?4, E22?4),


▷발지압판: 1일 10분 이상.


3)대장암 말기(36ㆍ여, 직업-사무원)


▷증상: 심한 하혈 발생 후 병원의 대장내시경 검사 후 대장암말기 진단.
- 대장암 수술 후 극심한 통증으로 진통제 복용했으나 통증은 지속됨.


▷처방: 수지침용 봉(서암봉)- 상응부위(수지사영혈 E21~24), K9, F4, M32.


▷수지침- 좌수 대장승방, 우수 심정방.


▷서암뜸- 1일 3회 5장씩 상응부위 K9, F4, M32.


▷반지요법- 좌수2지, 우수5지.


▷수지음식- 군왕식.


▷효과: 백혈구 수치 정상, 항암치료와 수지요법 병행 후

빠른 회복으로 대장상태 호전 - 항 암치료로 인한 부작용 최소화.

4) 대장암 2기(77ㆍ남)
▷증상: 7년 전 대장암 2기 진단.
항암제 치료 후 퇴원했으나, 손가락 끝이 검은색으로 변하고 구토증상 심함.

▷처방: 수지침용 뜸(황토서암뜸) 수술전2,000장 좌우수: A1ㆍ3ㆍ6ㆍ8ㆍ12ㆍ16ㆍ30, N18, F4ㆍ19, K9, E20ㆍ22ㆍ24

▷응급처방: 10선혈 사혈.

▷음양맥진: 좌 부돌3성 평맥, 우 촌구1성 평맥.

▷금수지침: 좌 비정방 상응점, 우 간승방 상응점

▷서암뜸: 1일 2회 200장.

▷효과: 6시간 수술 후 경과가 좋아 중환자실이 아닌 입원실로 바로 감.

응급처방과 수지침 자입 후 손끝의 색이 원래대로 돌아옴. 10일 만에 눈가의 검은자위가 없어지고,

3개월 후 백혈구 수치 정상.

▷관리: 7년 동안 꾸준히 서암뜸요법(1일 50장~100장)으로 관리해

현재는 암세포도 없어지고 머리카락도 검은색으로 변함. 건강한 생활.


5) 직장암 말기 (61ㆍ여, 직업-농업)

▷증상: 오래 전부터 소화가 안 되었지만 바쁜 일과로 신경을 쓸 여유가 없었다.
체중이 줄면서 대변에 혈액이 묻어 나오고, 입맛이 없어 식사를 못하자 종합검사를 해본 즉

직장암 말기로 수술을 하여도 1~2개월 정도 생명 연장.

▷처방: 운기체질 - 좌측 비실 담실, 우측 비허 소장실

▷삼일체질 - 좌우 신실증
방사선 치료기간(5주). 황토서암뜸 하루에 200장 이상.

A1ㆍ2ㆍ3ㆍ5ㆍ6ㆍ8ㆍ12ㆍ30, K9, F4(비ㆍ위기맥 오수혈). 직장암 수술(위 절제, 자궁 난소까지 제거)

▷수술 후: 수지음식(토신왕). 하루에 두번 황토서암뜸(A1ㆍ2ㆍ3ㆍ5ㆍ6ㆍ8ㆍ12ㆍ30, E21~24, K9, F4)을 200장 이상 뜸.

▷효과: 체중 3kg 정도 늘고, 머리카락이 훨씬 덜 빠지고 빨리 자랐음.

 7개월 지나자 건강이 많이 호전돼 담당의사는 기적이 아니고는 이럴 수가 없다고 함.

Ⅲ. 결론


본 연구는 여러 가지 질환이 나타나면서 고통을 받은 5명의 대장암 환자의 증상을 체질에 따른 처방으로 수지혈 위에 여러 가지 기구, 특히 서암뜸 자극을 실시한 후, 진통이 없어지면서 약물 부작용을 최소화 시키면서, 생명을 연장시키는 결론을 얻었다.

이렇게 암 환자는 정신적?육체적으??이루 말할 수 없이 고통스럽다고 한다.

말기암 환자 통증해소 방법으로 모르핀이나 진통제를 쓰지만 통증을 없애기에는 역부족이다.

서암뜸을 꾸준히 떠주면 통증을 해소시키는 데 놀라운 결과가 나타난다.

암 예방과 면역력 증진, 회복, 항암제 부작용과 후유증을 해소하는 데 큰 효과를 보여 모든 암 환자들에게 권해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