붕어낚시 교실
찌맞춤 1 (영점찌맞춤)
천부(泉扶)
2007. 4. 11. 14:22
영점맟춤법]
영점 맟춤법은 주로 "중국붕어"를 대상어로 하여 개발 되었으나 근래에 와서는 일반 자연저수지에서 토종붕어를 대상으로하여 가장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는 맟춤법 이라 할수 있습니다
-먼저 맟춤기법은
일반 수조통에서 "바늘"과 "케미"그리고 목줄과 찌길이와 합한 수조깊이 만큼의 "줄"을모두 꽃고 찌의 부력보다 침력이 높은 봉돌을 달아 조금씩 봉돌을 깍아 내려가면서 바늘의 허리가 바닥에 닿게하며 봉돌은 목줄길이의 높이 떠있게 하되케미꽃이" 끝선이 "수면에 일치" 되도록 맟추는 방법 입니다
이때 주의 하실점이 두가지가 있는데
-첫째로는 케미가 시작되는 "케미꽃이" 끝선이 수면에 일치 되었다 하더라도 반드시 밑바닥의 올림채를 들어 보아 바늘을 묶은 목줄이 휘어지거나 구부러짐의 유무를 확인 해야 합니다. 이때 만약 목줄이 구부러지게 되면 "칼 이나 줄"을 이용 하여 조금씩 봉돌을 깍아 주어야 합니다.
이는 케미꽃이의 넓은면과 그부력이 수면의 "표면장력"의 영향을 받아 봉돌의 "침력"과 찌의 "부력"을 흡수하기 때문입니다 반드시 다시한번 확인해야 할 사항 입니다.
-두번째로는 수조에서 이렇게 맟춤된 찌를 현장에서 확인하는 과정으로 다시한번 더 맟춤을 시도 하는데 대를 던져 낚시할 포인트에서 반듯이 맟추어야 합니다 .
먼저 찌를 수심 보다 충분히 올려놓고 내림맟춤으로 정확한 심을 확인한뒤 다시 찌를 수심 보다 약 10cm정도 내리고 또한번 확인 합니다. 이때 찌의 상태가 수조에서 처럼 케미 꽃이가 수면에 일치 되어야 합니다. 이전의 수조에서와는 틀리게 낚시대 길이 만큼의 "줄"의 무게가 추가 되었기 때문에 케미의 3분의 1 정도가 물에 잠길수 있습니다.
혹, 깊은 물이나 탁수에서는 물의 비중이 낯아 지고 부력이 수조에서와 상대적으로 상승하기에 일반적으로 줄의 무게를 상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렇게 맟춤된 찌를 사용하실 때는 일반적으로 찌톱을 수면에서3~5cm 정도를 올려 낚시를 하게 되는데 이점 또한 절대 간과 해서는 않될 문제 입니다
보통 이렇게 맟추어진 영점 찌의 단점으로
"물흐름"과 "바람" 에 의하여 찌가 일정한 포인트를 벗어나 흐르는 경우가 발생 되는경우를 가 있는데 "찌톱"을 올려놓고 사용하심은 이를 방지 하기 위함이며 케미 꽃이에 작용하는 "표면장력"을 피하기 위함 입니다.
찌톱과 케미꽃이 그리고 케미컬 라이트는 합성 플라스틱 물질로 수면 위에 있게되면 "침력"의 비중이자 수면 아래로 내려가면 그비중이 물보다 가벼워 부력으로 작용된다는 것을 염두에 두셔야 합니다.
보통 "영점맟춤"된 찌는
뛰어난 순발력을 보이고 목줄의 사각 지대를 미연에방지 하여 붕어의 "도둑입질"을 방지하기에 매우 적절하고 유리한 채비법 입니다 .때문에 근래에 들어서는 가장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대상어종으론 일반 유료낚시터의 "중국붕어"와 "향어" 를 상대로 매우 적당 합니다.
-참고- ....[이단입수]
포인트에 착수하여 수직입수 되는 찌가 찌톱 상단의 7~10cm부분에서 일시적으로 멈추었다 채 일분이 못되는 시간이 지나 3~5cm정도를 다시금 서서히 입수하여 제자릴 잡는 현상으로 이는 찌꽃이부터 초릿대까지의 원줄이 가라앉으며 그 비중이 찌에 미치는 현상으로 보통 제대로 된 "찌및춤"에 물에 가라앉는 "카본사"를 사용할 경우에 나타난다.
단 .. 물에 뜨는 모노 필라맨트줄을 사용할 경우에는 발생하지 않는다. 하여 입수되는 찌가 "이단입수" 현상을 나타내면 잘된 "맟춤법"으로 생각 해도 무리는 없다고 볼수 있다.
영점 맟춤법은 주로 "중국붕어"를 대상어로 하여 개발 되었으나 근래에 와서는 일반 자연저수지에서 토종붕어를 대상으로하여 가장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는 맟춤법 이라 할수 있습니다
-먼저 맟춤기법은
일반 수조통에서 "바늘"과 "케미"그리고 목줄과 찌길이와 합한 수조깊이 만큼의 "줄"을모두 꽃고 찌의 부력보다 침력이 높은 봉돌을 달아 조금씩 봉돌을 깍아 내려가면서 바늘의 허리가 바닥에 닿게하며 봉돌은 목줄길이의 높이 떠있게 하되케미꽃이" 끝선이 "수면에 일치" 되도록 맟추는 방법 입니다
이때 주의 하실점이 두가지가 있는데
-첫째로는 케미가 시작되는 "케미꽃이" 끝선이 수면에 일치 되었다 하더라도 반드시 밑바닥의 올림채를 들어 보아 바늘을 묶은 목줄이 휘어지거나 구부러짐의 유무를 확인 해야 합니다. 이때 만약 목줄이 구부러지게 되면 "칼 이나 줄"을 이용 하여 조금씩 봉돌을 깍아 주어야 합니다.
이는 케미꽃이의 넓은면과 그부력이 수면의 "표면장력"의 영향을 받아 봉돌의 "침력"과 찌의 "부력"을 흡수하기 때문입니다 반드시 다시한번 확인해야 할 사항 입니다.
-두번째로는 수조에서 이렇게 맟춤된 찌를 현장에서 확인하는 과정으로 다시한번 더 맟춤을 시도 하는데 대를 던져 낚시할 포인트에서 반듯이 맟추어야 합니다 .
먼저 찌를 수심 보다 충분히 올려놓고 내림맟춤으로 정확한 심을 확인한뒤 다시 찌를 수심 보다 약 10cm정도 내리고 또한번 확인 합니다. 이때 찌의 상태가 수조에서 처럼 케미 꽃이가 수면에 일치 되어야 합니다. 이전의 수조에서와는 틀리게 낚시대 길이 만큼의 "줄"의 무게가 추가 되었기 때문에 케미의 3분의 1 정도가 물에 잠길수 있습니다.
혹, 깊은 물이나 탁수에서는 물의 비중이 낯아 지고 부력이 수조에서와 상대적으로 상승하기에 일반적으로 줄의 무게를 상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렇게 맟춤된 찌를 사용하실 때는 일반적으로 찌톱을 수면에서3~5cm 정도를 올려 낚시를 하게 되는데 이점 또한 절대 간과 해서는 않될 문제 입니다
보통 이렇게 맟추어진 영점 찌의 단점으로
"물흐름"과 "바람" 에 의하여 찌가 일정한 포인트를 벗어나 흐르는 경우가 발생 되는경우를 가 있는데 "찌톱"을 올려놓고 사용하심은 이를 방지 하기 위함이며 케미 꽃이에 작용하는 "표면장력"을 피하기 위함 입니다.
찌톱과 케미꽃이 그리고 케미컬 라이트는 합성 플라스틱 물질로 수면 위에 있게되면 "침력"의 비중이자 수면 아래로 내려가면 그비중이 물보다 가벼워 부력으로 작용된다는 것을 염두에 두셔야 합니다.
보통 "영점맟춤"된 찌는
뛰어난 순발력을 보이고 목줄의 사각 지대를 미연에방지 하여 붕어의 "도둑입질"을 방지하기에 매우 적절하고 유리한 채비법 입니다 .때문에 근래에 들어서는 가장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대상어종으론 일반 유료낚시터의 "중국붕어"와 "향어" 를 상대로 매우 적당 합니다.
-참고- ....[이단입수]
포인트에 착수하여 수직입수 되는 찌가 찌톱 상단의 7~10cm부분에서 일시적으로 멈추었다 채 일분이 못되는 시간이 지나 3~5cm정도를 다시금 서서히 입수하여 제자릴 잡는 현상으로 이는 찌꽃이부터 초릿대까지의 원줄이 가라앉으며 그 비중이 찌에 미치는 현상으로 보통 제대로 된 "찌및춤"에 물에 가라앉는 "카본사"를 사용할 경우에 나타난다.
단 .. 물에 뜨는 모노 필라맨트줄을 사용할 경우에는 발생하지 않는다. 하여 입수되는 찌가 "이단입수" 현상을 나타내면 잘된 "맟춤법"으로 생각 해도 무리는 없다고 볼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