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학

干論秘訣 1

천부(泉扶) 2017. 7. 17. 17:36

干論秘訣

평생교육원 명리학 기초과정에 입문한 수강자들의 편의를 위하여 日干을 기준으로 난강망의 이론과 부합되는

적천수 각 天干의 특성을 나열하고 주목할 만한 다른 천간의 희신과 기신(喜忌)을 구분하여 서술하였다.

十干喜忌 관계는 나란히 할 경우 그 의미가 나타나며 떨어져 격리되면 대체로 그 의미가 퇴색된다.

 

적천수 천간론(天干論)

적천수의 천간론은 중요하므로 아래에 정리해 보았습니다. 사주를 잘 보려면 이 천간론을 철두철미 이해하여야(가급적 암기) 합니다. 원문에 한글로 쓴 것은 윈도우에서 지원하지 않는 한자입니다.

甲木參天. 脫胎要火. 春不容金. 秋不容土. 火熾乘龍. 水宕騎虎. 地潤天和. 植立千古.

갑목삼천. 탈태요화. 춘불용금. 추불용토. 화치승룡. 수탕기호. 지윤천화. 식립천고.

[번역] 갑목은 하늘로 치솟는 목이니 무성한 목이든 어린 목이든 가 필요하다. 봄에는 을 용납하지 아니하고 가을에는 를 받아들이지 아니하고 가 치열하면 을 타고 앉아야 하고 가 넘쳐도 을 걸터앉으면 지윤천화(地潤天和)하여 곧게 천년을 서 있을 것이다.

[해설]

1. 갑목은 순양(純陽)인데 왕성하다면 하늘을 찌를듯이 높이 솟을 수 있습니다.

2. 왕성한 목이 를 만나면 목화통명(木火通明)이라 하여 좋습니다.

3. 정월(寅月)에는 아직 추우므로 가 필요하고 2(卯月)에는 대단히 왕성하므로 신왕하다고 하더라도 을 용신으로 쓸 수 없습니다. 역시 가 필요합니다. 여름에만 가 필요하고 봄, 가을, 겨울 모두 가 필요합니다.

4. 가을에는 가 허박(虛薄)한데 으로부터도 극을 받으니 의 뿌리가 되지 못하고 이 상합니다.

5. 만약 지지에 寅午戌火局인데 천간에 丙丁火가 투출하여 조열하다면 갑목이 타버릴 것입니다. 이때는 지지에 辰土가 있어야 火氣를 설하고 生木할 수 있습니다.

6. 만약 지지에 申子辰水局인데 천간에 壬癸水가 투출하였다면 폭류에 나무가 떠내려 갈 것인데 지지에 寅木이 있어야 뿌리가 되어 떠내려가지 않을 것입니다. 寅木丙火, 戊土를 소장하고 있으며 갑목의 녹왕지(祿旺地)이기 때문입니다.

 

1. 甲木

1). 甲木은 본성상 乙木助力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乙木이란 겁재는 인수를 빼앗아 가는 (劫財奪印) 나쁜 힘을 일으키어 甲木에 이상적인 癸水의 도움을 앗아간다. 乙庚金으로 합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다.

2). 甲木의 이상적인 뿌리는 辰土.

은 따스하고 습기가 있어(暖濕) 글자 자체로 기후가 조절(調喉)되는 중요한 글자로서 지지에 숨은 천간(暗藏) 癸水丙火, 밝은 빛을 가리는 일이 없으니 甲木과 가장 잘 조화된다.

3). 甲木은 우선 흙()를 본 연후 물()를 써야 한다.

4). 甲木이 너무 강()하면 로 흘러나가()기 이전, 庚金으로만 소중함()을 조율할 수 있다.

5). 봄나무(春木)을 두려워한다.

6). 가을나무(秋木)庚丁(++: 劈甲引火=나무를 잘라야 불이 붙는다.)의 조합을 제일로 삼으며, 를 그다지 기뻐하지 않는다.

7). 겨울나무(冬木)은 반드시 병화(丙火)를 필요로 한다.

8). 임수(壬水)가 왕성하면 나무가 물에 뜨게 (浮木)되고, 계수(癸水)가 왕성하면 나무가 썩게(腐木)될 염려가 있으니 이 경우는 무토(戊土)가 필요해 진다.

 

 

() 甲木이 좋아하는()오행은

-.+

나무와 나무는 숲을 이루기 위함이요(雙木爲林) 이럴 때에는 경쟁에 강해진다.

-.+ +

나무가 셋이 어울러 짐은 수풀을 이룸을 위함이며(三木爲森) : 대단한 활동력의 소유자로 여러방면에서 우두머리가 될 소지가 있음이라.

-.+

예기치 않았던 일이 행운이 나타남[비조부혈(飛鳥趺穴)]난다는 경우이며, 이 경우 日干 甲木癸水 또는 己土가 오행에 따르면 확실하게 격을 이루게 되고 '++'의 구도는 '비조부혈(飛鳥趺穴)'의가 나타나지 않음. '++'의 경우는 구제됨.

丙火 食神甲木의 힘을 빼앗기지(洩氣)않으며 오히려 하게 한다. 十干의 세계에서 단순한 五行의 생극제화(生剋制化) 논리는 통하지 않는다. 다만 그것은 격국(格局)의 높고 낮음을 논함에 한정되는 이론으로 활용해야 한다. 조후용신(調喉用神)의 운용법을 부억(扶抑)의 그것과 혼돈하는 어리석은 간명을 하지말아야 한다.

-.+

땔 나무기 있어야 불이 붙는다[유신유화(有薪有火)으로 학문이나 예술적 재능이 뛰어남을 말한다.

-. + +

나무가 타면서 화로가 담은 숯불은 따뜻함과 빛을 발하는 [유신유화유로(有薪有火有爐)]유능한 인재가 된다는 것을 말함.

-.++, ++, ++

내가 생하는 관계에서 음양이 다른 상관(傷官)이 있고, 이를 日干과 관계가 좋은 겁재(劫財)가 생하여 주면 한판격으로 크게 발전하여 성공하고 이를 기반으로 탄탄대로의 一生이 펼쳐지는 복됨이 있다. 이를 인보상관(刃輔傷官)이라 하고 ++, ++, ++이상 세 가지에 경우를 둔다.

-. +

좋은 땅에서 잘 자라는 나무의 형상을[양토육목(壤土育木)] 경영능력이 아주 좋으며. 丙火와 짝을 이루게 되면 예능계, 기술업계에 적합하고, 癸水와 짝이 되면 유흥, 요식업계에 적당함.

-.++. ++

-.+

좋은 나무는 가을나무라야 하고 재를 생하여 주는 것을 [死木(秋木)흔목위재(欣木爲財)]라 하고 경우 관() 계통으로 크게 출세함.

-.+

연못에 수양버들 그림자가 가로 늘어진 격을 [횡당유영(橫塘柳影)]로 인기인으로 丙火와 어울리면 특히 물류계통에서 뛰어난 교제술로 출세함.

-.+

수풀뿌리는 이슬비를 받아 싱싱하게 자라는 격으로 [수근로수(樹根露水)]

이 격을 띤 자는 대인관계가 좋고, 조직이나 집단에서 공을 세움. 己土와 조합되면 큰 를 축적함.

 

() 甲木이 싫어()하는 오행은

-.+

민둥산의 고목 형상을 [독산고목(禿山孤木)] 이라하고,

부자(富者)의 어려움과 고통을 겪고 나므로 그 과정에서 안정감이 떨어짐.

戊土의 저항이 심하면 전형적인 재다신약(財多身弱)이 되기 쉬움.

-.+

잘게 부수어져 쓸모없는 조각난 몽둥이를 두고 [목곤쇄편(木棍碎片)]이라 하고 큰 인물이 되거나 고위직에 오르지 못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