干論秘訣 6
6. 己土
己土卑濕. 中正畜藏. 不愁木盛. 不畏水狂. 火少火晦. 金多金光. 若要物旺. 宜助宜幇.
기토비습. 중정축장. 불수목성. 불외수광. 화소화회. 금다금광. 약요물왕. 의조의방.
[번역] 기토는 비습하고 중정을 지키며 안으로 축장하기 때문에 木이 왕성한 것을 근심하지 아니하고 水가 광분함도 두려워하지 아니하고, 火가 적으면 火를 가려버리고 金이 많으면 金을 빛내고 만약 만물이 왕성하면 生助할 것은 생조하고 방조할 것은 방조하는 것이 중요하다.
[해설]
1). 己土는 음습(陰濕)한 土다.
20. 기토는 그 성정이 유순하여 화목하므로 木을 도우니 木의 극을 받지 않는다.
3). 기토는 水를 받아들일 수 있기 때문에 水를 두려워하지 않는다.
40. 기토는 음습하기 때문에 정화(丁火)가 약하면 丁火의 빛을 가려버린다(어둡게 한다).
50. 기토는 辛金이 있으면 辛金을 생하여 윤택하게 만들어 준다.
6). 사주에 土의 뿌리가 튼튼하고 丙火를 만나면 병화가 음습한 土의 기운을 제거해 주니 만물을 자생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갖추었으니 인수건, 비겁이건 모두 좋다.
(1). 己土가 丙火로 인해 특별히 强해지면 癸水로 빛을 막아야 한다.
(2). 己土가 甲木에 의해 剋이 심해도 癸水는 구제의 神이 된다.
<喜>
己 + 丙
대지보조(大地普照) : 경쟁 구도에서 뜻하지 않은 원조자를 만나며 영광을 거머쥠.
丙火가 忌神으로 작용하면 홍광천리(洪光千理)라 하여 탁한 광채가 천리가 가는 格이니 생각하는 바가 사납고 인기가 없으므로 성공하기 어렵다.
己 + 戊
경련상배(硬軟相配) : 회적으로나 개인적으로나 대인 관계가 원만하여 대성함.
己 + 癸
옥토위생(玉土爲生) : 육친과 타인의 덕이 두터워 유복한 생활을 구가함.
<忌>
己 + 甲
목강토산(木强土山) : 매우 건강이 弱하거나 위장병을 앓기 쉬움.
己 + 乙
야초난생(野草亂生) : 사업이나 일의 처리에 야무진 데가 없고, 行運이 잘 따르지 않음.
己 + 壬
기토탁임(己土濁壬) : 財物 運이 나쁘며, 이성의 德이 박하고 색정 문제를 일으키기 십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