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분 및 생리 효능
야콘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단당류와 설탕과 같은 2당류 그리고, 3∼10炭糖의 올리고당 등 몇 가지 형태의 탄수화물을 덩이뿌리에 저장하며, 약간의 전분과 이눌린(inulin)을 함유한다. 이눌린은 35탄당의 다당류로 돼지감자나 달리아 같은 국화과 식물에 많은 저장 당이지만, 야콘에는 양이 아주 적다.
반면 수확기에는 4탄당 정도의 oligofractan이 건물기준으로 67% 정도 된다. 야콘의 올리고당은 글로코스기를 갖는 β-후락토올리고당(이눌린계 oligofractan)으로 알려졌다. 수확 직후에 올리고당은 67%였으며, 수확 후 96일에 약 20% 로 낮아진다.
그러므로 올리고후락탄과 단당류의 상대적 비율은 생육단계와 수확에 변한다. 그외 약간의 섬유소, 레티놀 등 비타민과 무기물을 함유한다. 표피의 腺에서 분비되는 터페노이드 젖산이 맛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추측되지만 실험결과는 아직 없다.
볼리비아에서는 당뇨병 환자와 소화장애가 있는 사람들이 많이 먹으며, 腎부전이나 피부를 젊게 하는 효과가 있다고 한다. 브라질에서는 야콘 잎에 당뇨병을 예방하는 약리작용이 있다고 하여 약차를 만들어 음용하며, 말린 잎을 달인 물을 당뇨병 걸린 쥐에 투여한 결과 혈당강하 효과가 밝혀졌다.
야콘에 많이 들어있는 포도당, 과당은 설탕보다 당도가 높고 장내 흡수속도가 느리다.
올리고당은 체내에서 소화흡수가 적으며, 장내에서 부패균 (E. coli)이나 식중독균 (Clostri dium perfrigens)은 이용하지 못하며, 반면 젖산균 (Bifido bacte rium sp.)은 잘 이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비피더스균을 증강하고 유해균을 감소시켜 장을 깨끗하고 튼튼하게 하는 정장작용과 장의 운동을 활성화하여 변비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혈청 골레스테롤을 저하시켜 동맥경화를 예방하며, 또한 충치를 유발하는 Steptococcus mutans가 이용하기 어려우므로 감미료로 이용할 경우 설탕보다 충치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 할 수 있다.
야콘 무게의 약 10%를 차지하는 프락토 올리고당은 체내 소화 흡수가 느리고 적어 비만증을 예방.
미네랄 특히 칼륨을 많이 포함하고 있어 체내 나트륨 양의 밸런스를 맞춰 혈압을 낮추는 효능과 그 외 칼슘, 마그네슘 등도 풍부한 알카리성 식품으로 골다골증 예방에도 효과적 이다.
알카리성 식이섬유가 풍부하고 저칼로리이기 때문에 일본, 미국 에서는 다이어트 식품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야콘 먹는 방법
1 .야콘 주스 : 우유나 요쿠르트를 섞어서 함께 갈아 건강주스로 드실 수 있습니다.
2. 야콘 술 : 과일주와 같은 방법으로 담가두면 약 5일이 지난 후에 드실 수 있습니다.
야콘은 술의 알콜 농도를 낮춰주는 역할을 합니다.
3. 야콘 생채 : 야콘을 무채처럼 썰어서 무생채처럼 양념하여 야콘 생채를 만들어 밑반찬으로 먹
어도 그만입니다.
4. 각종찌개 : 각종 생선찌개에 무, 연근, 감자, 당근 대신 넣어서 조리하면 비린내가 없어지고 개
운한 것이 특징이며 오랜 시간이 지나도 야콘은 형태와 향을 그대로 지니고 있습니다.
5. 야콘 냉면을 해 먹을 수 있습니다
야콘을 엊어서 먹을 수도 있고 야콘으로 만든 면발도 건강식으로 유명합니다.
6. 삼겹살, 고기볶음, 구이 등에 야콘을 썰어 넣으면 지방질이 거의 탄화되어 고기가 연해지면서
맛이 특이하고 잡냄새가 없어집니다.
7. 술안주 : 술상에 안주로 올리면 간단하면서도 입을 깔끔하게 해주는 효과적인 술안주가 될 수 있습니다. 야콘색이 변하지 않게 하려면 냉수나 설탕물에 담갔다가 바로 꺼내면 됩니다.
※ 물김치 - 깍두기 , 나물, 김치속 등에 무와 같은 방법으로 넣으면 더 감칠맛이 납니다.
※ 부침 - 야콘을 잘 씻은 다음 믹서기로 갈든지 강판에 갈아서 밀가루나 , 녹두가루에 반죽물 대
신 야콘 물을 넣고 양념을 넣어 부침을 만든다.
※ 사라다 - 야콘을 물에 잘 씻어 껍질 을 깍은후 모양 있게 쪼개어 즉시 소금물에 넣었다가 바
로 꺼내어 마요네즈를 섞어서 사라다를 만듭니다.
※ 국수 - 야콘을 물에 잘 씻어서 믹서 를 한 다음 밀가루 반죽 을 야콘즙 으로 해서 반죽을 잘
한 후 국수를 만들면 생 밀가루 냄새가 안 나고 질긴 맛이 더 있습니다.
※ 수제비 - 야콘을 믹서해서 밀가루 반죽을 묽게 하여 수제비 국을 만들면 쫄깃하고 달고, 맛이
일미 입니다.
※ 튀김 - 야콘을 모양 있게 낸 다음 계란, 밀가루, 빵가루 등을 칠한 후 식용유 에 튀깁니다.
※ 만두 - 만두피 만드는 밀가루 반죽을 야콘즙으로 하고 속 양념에 야콘을 잘게 썰어서 약간 넣
으면 감미가 있습니다.
※ 야콘술 - 야콘 을 물에 씻은 다음 용기 에 넣고 소주를 가득 채워 부은 다음 5 일후면 색깔,
향기가 좋으며 알콜 농도가 낮아집니다.
※ 고기와 함께 - 삼겹살, 고기볶음, 구이 등에 야콘을 설어 넣으면 지방질이 거의 탄화되어 고기
가 연해저면서 맛이 특이하고 잡냄새가 없어집니다.
- 야콘은 괴근을 생식하거나 삶아 먹으며 기름에 볶아 먹기도 합니다.
- 수분함량이 높기 때문에 착즙액도 간단히 얻어 음료나 건강차로 식음할 수 있습니다.
- 어떠한 요리에 가미를 하여도 한층 더 맛을 좋게 하고 설탕과 조미료를 첨가하지 않아도 맛이
좋은것이 특징 입니다.
- 야콘은 과일과 같이 껍질을 깍아 내고 썰어서 먹으면 디저트로 술안주 등 시원한 감미로서 새
로운 맛을 느낄 수 있습니다.
참고 조리팁
생으로 채를 썰어서 호박고구마채, 생밤채, 배채, 사과채를 모두 섞어서 들깨와 꿀을 섞어 만든 소스를 얹어 먹으면 정말 시원하고 상큼하고 맛있어요.
그리고 찌거나 삶아 먹으려면 이게 잘 안 익어서 매우 오랫동안 조리를 해야 합니다. 기름에 볶아먹어도 사각거리는 느낌이 있어 좋은데, 야콘은 생으로 먹는 것이 효용면이나 조리면이나 좋을 것 같습니다.
참고로 야콘은 겨울에 재배 수확되기 때문에 농약이 필요 없는 식물이며, 퇴비만 적절히 주면 잘 자라서 대부분의 야콘은 무공해식품이라 생식하기에 아주 좋습니다. 그리고 야콘은 고구마와 달리 보관을 아주 오랫동안 할 수 있습니다. 특별히 냉장고에 넣지 않아도 한 달 정도 변질되지 않으며 얼지만 않게 보관하면 두세 달을 놔두어도 싱싱하게 보관 됩니다.
'건강(약용)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싸리나무의 놀라운 효능 (0) | 2008.02.13 |
---|---|
겨울철 고혈압관리 (0) | 2008.01.17 |
흰머리 예방법 (0) | 2007.11.24 |
하루에 7잔 이상 마신다 (0) | 2007.11.24 |
위장병 - 자연치료법 (0) | 2007.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