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독요망]질병에 따른 음식처방의 원리
※수지요법에 입문한지 벌써 십년이 훌쩍 넘었네요
그동안 많은 분들을 치료하면서 치료할때마다 꼭 드리는 말씀이 있습니다
맥상과 체질에 따라 음식섭생을 조절하여 드셔야 할 음식과 적게 드셔야 할 음식을 말씀드립니다
그러나 대다수의 분들은 제가 말씀드리는 음식섭생에 대하여 그리 깊이 생각치를 않는거 같습니다
질병이 생기는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을수 있으나 식습관과 생활환경 스트레스 등으로 가장많이 발병한다 봅니다
질병을 치료를 함에 있어서 체질과 상관없이 섭생을 하면서 치료를 하게 되면 과연 치료의 효과를 얼마나 기대할수있을까요?
가장 쉬운 예를 들어서 위장기능이 않좋은 분들의 경우 위장에 좋은 음식은 甘味(감미)에 속한 단맛의 음식이고
위장에 상극이 되는 음식은 신맛과 짠맛의 음식입니다 ....굳이 음양오행의 상생상극을 따지지않더라도
신맛의 음식을 공복에 먹거나 과하게 먹엇을 경우 속이 쓰리거나 부담스러운 것을 누구나 다 경험하셨을 것입니다
그러나 위장이 않좋은 분들에게 가장 취약점의 하나가 신맛에 속하는 밀가루 음식을 좋아하거나 신맛의 음식을 드시는데
전혀 부담을 느끼지 않으신다는 것 입니다 .... 위장에 문제가 있어서 열심히 약을 먹고 뜸을뜨고 침을 놓고 치료를 해본들
이는 밑빠진 독에 물 붇기요 병주고 약주고의 반복일 뿐입니다
치료에 있어서 중요한 세가지는 우선 맥상과 체질을 정확히 알아 적절한 치료와 더불어 체질과 맥상에 따른 음식을 주로 드시고
본인의 질병과 맥상 체질에 상극이 되는 음식은 절제하며 적당한 운동을 통하여 전신의 순환과 흐름을 좋게하여야 합니다
그러나 열심히 약을 먹고 뜸을 뜨고 침을 맞고 치료를 하고 운동을 할지라도 네게 상극이 되는 음식을 멀리하지않는다면
이는 그야말로 가장 어리석은 우를 범하고 있는 것 입니다
손사랑 뜸사랑 회원여러분께서는 본인의체질과 맥상에 따른 섭생법을 잘 살피셔서 늘 건강하시고 행복한 삶이 되시기 바랍니다
우리 전통의 식품관은 질을 중시하는 식품관이다.
동양의 3대 건강훈 중 영식양생(營食養生)이라는 말이 있듯이
우리의 전통 식품관은 어떻게 하면 음식의 질을 높여 생명력을 기를 수 있을 지에 주안점을 두었다.
이런 맥락에서 채소를 그대로 섭취하지 않고 김치로 담가 먹어 체내 흡수율과 약성을 높였고,
콩을 된장으로 발효시켜 먹었다. 또 보리를 발아시켜 식용함으로써 효소를 증대시켰고,
콩을 콩나물로 길러 각종 유효 성분을 생성시킴으로써 그 약성을 높였다.
나아가 제철에 난 식품과 사는 곳과 가까운 지역에서 생산된 농산물을 가려 섭취하는 등
음식이 지닌 천기(天氣)와 지기(地氣)까지도 철저하게 고려하였다.
이런 음식에 대한 우리 전통의 철학과 달리 서구의 식품관은 양을 중시하는 식품관이다.
이런 식품관에서는 어떤 식품이든 칼로리란 양이 중요하지 식품의 질은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다.
따라서 정백한 백미이든 자연의 쌀인 현미이든, 화학 비료로 길러진 농산물이든 퇴비로 길러진 농산물이든,
제철의 농산물이든, 철에 관계없이 비닐하우스에서 길러진 농산물이든, 자연 식품이든 화학적으로 가공된 인스턴트식품이든,
자연 생태 식품이든 유전자 조작 식품이든, 천연 소금이든 화학 소금이든, 자연 당분이든 인공 감미료이든, 천연 조미료이든
화학 조미료이든 모든 식품은 그 질이나 생명성에는 상관 없이 칼로리란 분석의 틀 속에 양적으로 계산되는 하나의 물질이 된다.
결국 이런 식품관이기에 식품은 인간의 편의와 경제적 목적에 따라 얼마든지
화학적으로 가공 변질될 수 있는 물질로 취급되는 것이다.
그 결과 오늘날과 같은 비자연적이고 왜곡된 식생활 형태를 낳게 된 것이다.
오늘날 우리 사회는 서구의 식품관에 젖어 각종 왜곡된 식품이 난무하고 있다.
그리고 이것을 무분별하게 섭취한 결과 오늘날 우리 사회엔 암 · 고혈압 · 당뇨병 · 비만 등이 만연하고,
이로 인한 사망자도 매년 급증하고 있다.
따라서 이제라도 이런 불행한 사태를 막기 위해서는 식품의 질이 인간의 생명의 질을 좌우한다는 점을 중시해야 한다.
그리고 하루 빨리 서구의 양적 개념의 식품관에서 벗어나 음식의 질과 생명성을 중시하는 우리의 전통의 식품관을 되찾아야 한다.
질병에 따른 음식처방의 원리
1. 간담에 병이 오면 -
양실증의 경우 매운맛 줄이고, 신맛을 많이 하며, 짠맛의 도움을 받는다.
반대로 간담이 너무 강하면 - 신맛 줄이고, 매운맛으로 폐대장을 강화하고, 단맛으로 신장을 억제하라.
(예를 들어 간담이 강해 담즙생산 과다로 황달이 왔다면 맵고 달게 먹어야 한다.)
신실증의 경우 매운맛 줄이고, , 쓴맛의 도움을 받는다.
반대로 간담이 너무 강하면 - 신맛 줄이고, 매운맛으로 폐대장을 강화하고, 단맛으로 신장을 억제하라.
(예를 들어 간담이 강해 담즙생산 과다로 황달이 왔다면 맵고 달게 먹어야 한다.)
2. 심소장에 병이 오면 - 짠맛을 줄이고, 쓴맛을 많이 하며, 단맛의 도움을 받는다.
반대로 심장이 너무 강하면 - 쓴맛 줄이고, 짠맛으로 신방광을 강화하고, 현미로 간담을 억제하라.
(예를 들어 심장이 강해 천식과 폐병이 왔다면 맵고 짜게 먹어야 한다.)
3. 비위에 병이 오면 - 신맛을 줄이고, 단맛을 많이 하며, 쓴맛(신실증) , 매운맛(양실증)의 도움을 입는다.
반대로 비위가 너무 강하면 - 단맛 줄이고, 신맛으로 간담을 강화하고, 짠맛으로 심장을 억제하라.
(예를 들어 비위가 강해 신장에 병이 왔다면 짜고 시게 먹어야 한다.)
4. 폐대장에 병이 오면 - 쓴맛을 줄이고, 매운맛을 많이 하며, 단맛의 도움을 입는다.
반대로 폐대장이 너무 강하면 - 매운맛 줄이고, 쓴맛으로 심장을 강화하고, 신맛으로 비위를 억제하라.
(예를 들어 폐대장이 강해 간담에 병이 와 피곤하다면 시고 쓰게 먹어야 한다.)
5. 신방광에 병이 오면 - 단맛을 줄이고, 짠맛을 많이 하며, 매운맛의 도움을 입는다.
반대로 신방광이 너무 강하면 - 짠맛 줄이고, 단맛으로 비위를 강화하고, 쓴맛으로 폐대장을 억제하라.
(예를 들어 신방광이 강해 배가 냉하고 심소장에 병이 왔다면 쓰고 달게 먹어야 한다.)
6. 심포삼초에 병이 오면 - 지방과 소금과 당분을 줄이고, 떫은맛을 많이 하고, 쓴맛과 신맛의 도움을 받는다.
반대로 혈관이 지나치게 열려 저혈압 시에는 - 소금 지방 설탕 단백질 등을 섭취한다.
(고저혈압의 자각증상은 착각하기 쉬우니 혈압계 활용. 이완기 즉 아래혈압이 높으면 피가 진하고 낮으면 묽은 것이다.)
※위의 자료글 내용은 개인적인 소견을 피력한 것 입니다
(위 의 내용에 대한 옳고 그름은 각자의 판단 기준에 맡길 것입니다)
맛에 따른 식품 분류
1 신맛 음식 - 간에 좋고, 지나치면 비위에는 해로움 (수지음식 = 인왕식)
팥. 밀. 보리. 메밀. 귀리. 포도. 사과, 딸기. 자두. 귤. 잣. 호도. 강낭콩, 동부, 밀가루 음식(빵,국수)
완두콩, 참깨, 들깨. 매실. 앵두. 유자, 오미자, 부추. 신김치. , 개고기. 닭. 계란. 간. 쓸개. 식초. 구연산 ,,
2. 쓴맛 음식 - 심장에 좋고, 지나치면 폐장에는 해로움 (수지음식 = 예왕식)
수수. 살구. 은행. 자몽. 상추, 쑥갓. 쑥, 씀바귀. 꼬들배기, 더덕. 도라지. 각종산나물, 익모초(양증일때만),
근대. 셀러리. 영지(음증일때만). 치커리. 풋고추, 염소. 곱창. 참새. 짜장. 홍차. 설록차. 작설차, 커피. 초콜렛, 아보레센스
3. 단맛 음식 - 위장에 좋고, 지나치면 신장에는 해로움 (수지음식 = 토신왕식)
기장. 피쌀, 고구마. 참외. 호박. 감. 대추, 칡. 연근, 미나리.
인삼. 구기자, 두충, 감초. 당귀, 시금치, 미나리, 소고기. 토끼. 위장. 지라. 설탕. 꿀. 엿. 포도당, 식혜. 엿기름
4. 매운맛 음식 - 폐에는 좋고, 지나치면 간담에는 해로움 (수지음식 = 의왕식)
현미. 고추. 율무. 배. 복숭아. 파. 마늘. 달래. 무. 배추. 양파. 어성초, 말고기.
고양이, 생선. 동물허파, 대장, 조개. 폐, 대장. 생강, 후추. 겨자. 박하. 와사비, 무릇. 수정과, 곰보배추, 구절초 ,어성초
5. 짠맛 음식 - 신장에는 좋고 지나치면 심장에는 해로움 (수지음식 = 지왕식)
서목태, 콩. 검정콩, 밤. 수박. 미역. 다시마. 각종해조류, 콩떡잎. 파래, 김. 돼지. 해삼.
동물의신장, 방광, 뼈곰국. 녹용. 멸치. 소금. 죽염. 간장. 치즈. 된장. 젖갈류, 마, 두향차, 두유, 산수유
6. 떫은맛 음식 - 심포삼초에 좋으면서, 모든 장기에 도움됨 (수지음식에 모두 골고루 들어있음)
옥수수. 녹두. 조, 도토리. 토마토. 감자. 아몬드. 바나나. 토란. 콩나물. 버섯. 당근. 오이. 고사리. 두릅. 알로에베라
양배추. 가지. 죽순, 우엉. 아욱, 우무, 양고기. 오리, 오리알, 오징어. 명태. 요구르트. 로열제리. 덩굴차, 화분, 콜라,
'수지침요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무더위에 숨이 ‘턱턱’ 가운데 손가락 ‘꾹꾹’ (0) | 2009.07.15 |
---|---|
서암뜸 임상사례 - 갑상선, 갑상선증대, 무모증, 소양증 (0) | 2009.02.04 |
만성피로 해소 방법 (0) | 2008.12.29 |
추간판탈출증[서금요법] (0) | 2008.12.24 |
[필독요망] 관절과 손가락의 오행 속성 (0) | 2008.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