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로운 감정의 표현을 억압하면 수명이 단축된다. 2004년 한국의 남, 녀 평균 수명 차이는 무려 7년이나 되었다. 여자의 평균 수명이
79세인 반면 남자는 72세에 불과하다. 전세계적으로 여자가 남자에 비해 오래 살기는 하지만 이렇게 남녀의 차이가 큰 나라는 없다. 찜질방에서
아줌마들이 단체로 연속극을 보며 울고 웃는 사이, ‘존귀와 위엄’을 갖춘 이 땅의 남자들은 아무도 멋있게 보지 않는 근엄한 표정을 지으며 스스로
생명을 갉아먹고 있기 때문이다.
영국의 다이애나 황태자비가 죽었을 때의 일이다. 거의 한 달간에 걸친 장례기간 동안 전 영국의
TV에서는 다이애너비의 생전 모습을 반복해서 보여줬다. 다른 프로그램은 거의 볼 수 없었다. 신데렐라 같은 신분 상승과 남편의 사랑을 얻지 못해
괴로워했던 삶의 흔적들, 갖가지 봉사 활동에 몰두하는 모습들, 사건 장소의 참혹한 모습과 장례식 장면들이 쉬지 않고 영국 사람들의 눈물샘을
자극했다.
장례식이 모두 끝난 후, 흥미로운 보고서가 발표되었다. 장례식 이전에 비해 영국 전체의 우울증 환자가 1/3로 줄었다는
것이었다. 다이애너의 죽음으로 야기된 자유로운 감정의 발산, 억압된 눈물의 자유로운 분출을 통해 정신적인 건강을 되찾을 수 있었다는
이야기다.
신경생리학적 연구에 의하면 눈물에는 카테콜라민이라고 하는 스트레스 해소 호르몬이 섞여 나온다고 한다. 울지 못하면 이
스트레스 호르몬이 몸 안을 돌아다니다가 암을 일으키고, 뇌경색을 일으키는 것이다.
여전히 공식적인 자리에서 만나는 CEO들의 표정은
한결같이 굳어있다. 자신은 합리적인 사람이라는 뜻이다. 또한 포커 페이스가 리더십의 가장 중요한 요건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그 사이 그들의
수명은 단축된다. 뿐만 아니다. 감정을 억압하는 기업 경영은 뒤처지게 되어있다. 보다 분명하게 표현하자면 일찍 죽을 뿐만 아니라 사업도 망한다는
이야기다.
합리성이 보편화된 오늘 날, 누구나 추구하는 합리적 경영 방식만으로는 남들과 차별화될 수 없기 때문이다. 모두들 같은
합리적 경쟁 구조로 경쟁한다면 자본 투자가 많은 기업이 승리할 수 밖에 없지 않겠는가?
21세기 기업의 경쟁력은 이성과 감정의
이분법을 벗어나 감정을 얼마나 적극적으로 이용하는가에 의해 결정된다. 이성과 논리로만 이뤄지던 기업 경영에 감정을 적극적으로 포함시키는 것이
밸런스 경영의 핵심이다.
탁월한 판단 능력으로 각광받던 CEO가 감정을 느끼는 능력이 상실되는 병에 걸렸다. 그, 후 그가 내린
모든 결정은 형편없는 것으로 판명 났다는 사례가 있다. 이와 관련해 신경생리학의 대가인 아이오와 대학의 다마지오Damasio 교수는 대뇌에서
감정을 담당하는 영역이 사고와 추론 영역의 통합적인 기능을 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즉 감정이 이성과 분리된 것이 아니라 문제 해결의
효과적이고 합리적인 판단을 위해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정서는 합리적인 판단을 위해 너무나 중요한 정보와 행동의 준거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러분은 얼마나 효과적으로 적절하게 자신의 감성을 표현하고 계신가요? 자유롭게 감성을
표현하는 것은 스트레스를 해소시켜 줄 뿐만 아니라 창의력 증진에도 상당한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21세기는 조화와 공감의 시대라는 말이
있습니다. 즉 감정을 느끼고 표현함으로써, 그리고 상대방과 공감함으로써 우리는 보다 삶을 즐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적절한 의사 결정을
통해 성공의 기쁨을 맛볼 수 있는 시대가 도래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제 곧 즐거운 주말입니다. 다양한 활동을 통해 맘껏 당신의 감정을
발산시켜보는 시간을 가짐으로써 감성 지능을 한껏 높여보세요.
출처 : 노는만큼 성공한다
'경제.기획.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난은 나의 친구다 (0) | 2006.05.23 |
---|---|
긍정적인 생각을 남에게 납득시킬 필요는 없다. (0) | 2006.05.19 |
발전적인 삶 (0) | 2006.05.19 |
수평조직을 구축하라 ! (0) | 2006.05.19 |
[세금상식]1세대 2주택 해당여부 (0) | 2006.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