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학

12방위 특성따라 人.財.病. 敗..

천부(泉扶) 2006. 11. 17. 17:05

방위(方位) 불배합산 12방위 특성따라 人·財·病敗 4人敗節 일찍 죽고 4財敗節 재산 잃어

 

 

 

 

배합산이 아니면 당연히 불배합산(不配合山) 방위다. 불배합절(不配合節)이라고도 한다. 불배합산은 나경 24방위 중 입수맥 오른쪽이 지지자이고 왼쪽이 천간자인 경

우다. 이때 방위를 재는 기준은 산의 위쪽에서 아래로 봤을 때다. 배합산이 오른쪽 천간 왼쪽 지지로 구성된 것과 반대 형태인 것이다.

 

 

 

나경상 '…임자계(壬子癸)…'란 일련의 방위가 있다면 임과 자의 분금선 사이로 입수맥이 들어오면 임자(壬子) 배합절이 된다. 하지만 자와 계의 분금선으로 입수맥이 측정되면 자계(子癸) 불배합절로 분류돼 버린다. 나경의 글자 한칸 차이로 해석이 완전히 달라진다. 이 같은 것으로는 12 방위가 있다.

자계,축간,인갑,묘을,진손,사병,오정,미곤,신경,유신,술건,해임 등이다.

 

좌선이든 우선이든 관계없이 이들 방위의 분금선으로 입수맥이 들어오면 불배합산이 되는 것이다.

이 중 해임(亥壬),인갑(寅甲),사병(巳丙),신경(申庚)을 불배합손절(不配合孫節)이라 한다.

'인(寅)·신(申)·사(巳)·해(亥)'가 생지(生支)로 손(孫)에 해당하지만 배합을 이루지 못했다는 것이다.

 

길흉화복론으로는 4인패절(四人敗節)이다. 사람이 제명을 다하지 못하고 일찍 죽는 방위로 본다.

해임은 북방 수기운으로 인해 여러 가지 해를 입는다고 본다. 익사,약물 등으로 인한 음독 자살 등이

생긴다고 본다. 신체적으로는 오행상 수로 분류되는 신장,방광 등의 이상을 뜻한다.

 

인갑은 동방 목 기운으로 흉한 일을 당한다고 해석한다. 간 등의 지병이 해당한다.

사병은 남방 화운을 상징한다. 화재,폭발물로 인한 피해를 보거나 심장병 등을 함축한다.

신경이면 서방 금 기운으로 해를 입는다. 교통사고,총,칼 등 쇠붙이로 인한 흉사를 당한다.

정신·신경 계통의 질환도 포함한다.

 

자계(子癸),묘을(卯乙),오정(午丁),유신(酉辛)은 불배합귀절(不配合貴節)로 4재패절(四財敗節)이다.

자·오·묘·유가 왕지(旺支)로 귀(貴)를 나타내지만 배합이 되지 못했다는 것이다.

재산을 잃고 빈한해진다. 자계는 주색잡기,축첩 등으로 가난해진다.

묘을은 모든 재산을 탕진하고 거지로 전락할 정도가 된다.

오정은 주로 화재,음행 등으로 재산을 왕창 잃어버린다.

유신은 질병 등 건강 이상으로 가산을 잃는다.

 

축간(丑艮),진손(辰巽),미곤(未坤),술건(戌乾)은 4병패절(四病敗節)이다. 고질병을 앓는다.

축·미·진·술이란 고지(庫支) 방위답게 등 흉사가 복합적으로 발생한다. 축간은 순음 2자 방위다.

불치이거나 이름 모를 병이 발생하며 산 형세에 따라 불구자가 나기도 한다.

이 방위에서는 백호 쪽이 강하면 여아,청룡 쪽이 강하면 남아에서 각각 문제가 생긴다.

진손은 음탕한 후손이 나는 수가 많으며 대체로 음행으로 인해 발병한다.

 

산 형세에 따른 구분에 덧붙여 패철의 기두자에 따른 남녀의 구분을 적용하면 누가 여기에 해당하는지 알 수 있다. 만약 산 형세가 우선인 진손(辰巽)이라면 기두자인 진이 양이다. 따라서 남자가 음행을 한다. 좌선이면 진손을 손진(巽辰)으로 보고 손(巽)이 음이므로 여자가 음행자라고 판별한다.

진손 방위는 입수가 기울어져 들어오면 상처한다.

미곤은 진손 방위와 비슷한 성향이 나타나나 주로 성년층에 해당된다. 반면 진손은 젊은 층이 음행을

일삼는다고 풀이한다. 미곤은 특히 후손이 끊겨 양자로 대를 잇는 경우가 많다.

술건은 술과 여자와 노름 등의 잡기로 해를 입는다. 술건 방위에서 특이한 점은 혈을 중심으로 한 산 모양이 삼각형(▲) 모양이면 후손의 남편이 먼저 죽고 역삼각형(▼) 형태면 부인이 일찍 죽는다고 한다.

이 방위 역시 산 형태에 따라 손이 끊어지는 수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