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층낚시는 바닥이나 중층을 노리다가 붕어가 계속 떠서 띄우는 것이 아니라
처음부터 표층부터 노리는 낚시입니다.
표층낚시에도 두바늘 양당고 낚시는 20~30cm 정도 셋트낚시는 30~60cm 정도입니다.
(보통 경기낚시시 표층을 노릴때엔 15cm 정도로 목줄을 짧게합니다.)
마루큐사의 떡밥 카탈로그를 보면 "얕은 수심"이라는 얘기가 나오는데 여기서의 얕은 수심이란
표층낚시를 일컫는 말입니다.
수심이 얕다 보니 찌 역시 작은 찌를 사용합니다.
몸통에 비해 다리가 긴 것이 특징인데 다리가 긴 이유는 찌가 빨리 서기 위함입니다.
수면 가까이 몰려있는 붕어를 잡기 위해서는 찌가 빨리 서야 함은 기본입니다.
톱의 재질은 솔리드. 무크, 튜브를 사용합니다.
1) 솔리드 찌를 중층에 사용한다면 이상하게 생각하시겠지만 표층낚시는 기다리는 낚시가 아니라
빠른 속공낚시입니다. 솔리드 톱을 표층에 사용하면 밥의 무게로도 잠기게 됩니다.
떡밥을 달아 투척하고 찌가 잠기면 다시 건지고 이런 행동을 반복하다 보면 찌의 반응이
오게 됩니다.
정통 바닥 낚시 할 때도 찌의 움직임만 봐도 붕어가 왔다는 것을 알 수 있듯이 찌가 서기전에
"툭" 하고 움직이던가 내려가는 속도가 틀려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찌가 서면서부터 잠기기 전까지의 입질을 잡아내는데 사용합니다.
솔리드를 사용하는 찌들의 몸통은 대부분 갈대를 사용합니다.
둔하지만 반발력과 부상하는 힘이 커서 많은 분들이 사용합니다.
2) 무크를 사용할 때에는 1mm 스트레이트 탑을 주로 사용합니다.
무크 역시 솔리드이므로 떡밥을 잡아주지 못합니다.
다만 비중 면에서는 솔리드 보다 2배 가까이 됩니다.
무크는 붕어들의 활성도가 좋을 때 즉, 떨어지는 떡밥을 보고 와서 먹을 때처럼 활성도가
좋을 때 사용합니다.
"순진무구"하다고 할 때의 한자, 무구(無垢)를 일본식으로 발음한 것이 ‘무크’인 것을 보면
무크 찌는 활성도가 좋을 때 사용합니다.
3) 튜브 찌는 대부분 가는 튜브를 사용합니다. 주로 표층셋트 낚시에 사용합니다.
윗바늘 7cm에 아랫바늘 30cm정도가 기본이고 일본에서는 주로 우동을 입질용 떡밥으로
사용합니다.
찌다리는 솔리드, 카본, 대나무를 사용합니다.
솔리드는 공작과의 접합력이 우수해 하루에 300번 이상 투척하는 속공낚시에 많이 사용합니다.
다만 비중이 무겁고 길게 만들었을 경우 표면장력 때문에 빨리 서지 못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카본은 길게 가공 할 수 있기 때문에 표층낚시용 찌에 많이 사용합니다.
바람이 많이 부는 날도 빨리 설수 있기 때문에 일본에서도 카본 다리를 선호합니다.
대나무는 길게 만들면 부력이 높아져 찌가 서고 입수하는 과정이 늦어집니다.
또한 육각형 모양으로 가공하여 붙이지 않으면 시간이 지나면서 다리가 휘는 단점이 있습니다.
찌맞춤은 대부분 7~8목 기준 5목에 맞춰 사용합니다.
역시 찌가 빨리 서기 위함이고 찌톱이 수면으로 많이 나와 있으면 바람이 불거나 물결이 칠 때
찌톱이 흔들리게 됩니다.
표층낚시에서 가장 중용한 것은 입질을 파악하는 것입니다.
조사 분들이 낚시를 해 봐도 표층낚시는 정흡외에 몸통 걸림이 많은 낚시입니다.
일본에서도 과도한 붕어의 상승과 몸통 걸림으로 상처를 입는 것을 막기 위해 표층 1m 낚시는
금지 하는 곳이 많습니다.
표층낚시의 정흡을 높이기 위해서는 떡밥이 몰려있는 붕어 층에 들어가면 안 됩니다.
채비가 가라앉으면서 붕어가 따라 와서 먹는 형태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붕어가 있는 곳에 떡밥이 들어가면 99% 헛챔이나 몸통 걸림이 생깁니다.
이번에 방문한 "요코야마 덴스이" 씨는 집어제에 붕어가 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윗바늘(집어용)을 입질용 보다 작게 쓴다고 합니다.
그리고 입수하자마자 집어제는 확산이 되게 떡밥을 사용한다고 합니다.
찌가 서기전에 찌톱, 몸통이 흔들리는 입질, 찌가 똑바로 서기전에 45~60도 각도에서 들어가는
입질을 파악할 줄 알아야 정흡에 확률과 마릿수 조과를 올릴 수 있습니다.
이론과 현실은 많이 틀리겠지만 미흡한 부분이 있더라도 너그러운 마음으로 이해해 주시고
조금이나마 낚시하시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처음부터 표층부터 노리는 낚시입니다.
표층낚시에도 두바늘 양당고 낚시는 20~30cm 정도 셋트낚시는 30~60cm 정도입니다.
(보통 경기낚시시 표층을 노릴때엔 15cm 정도로 목줄을 짧게합니다.)
마루큐사의 떡밥 카탈로그를 보면 "얕은 수심"이라는 얘기가 나오는데 여기서의 얕은 수심이란
표층낚시를 일컫는 말입니다.
수심이 얕다 보니 찌 역시 작은 찌를 사용합니다.
몸통에 비해 다리가 긴 것이 특징인데 다리가 긴 이유는 찌가 빨리 서기 위함입니다.
수면 가까이 몰려있는 붕어를 잡기 위해서는 찌가 빨리 서야 함은 기본입니다.
톱의 재질은 솔리드. 무크, 튜브를 사용합니다.
1) 솔리드 찌를 중층에 사용한다면 이상하게 생각하시겠지만 표층낚시는 기다리는 낚시가 아니라
빠른 속공낚시입니다. 솔리드 톱을 표층에 사용하면 밥의 무게로도 잠기게 됩니다.
떡밥을 달아 투척하고 찌가 잠기면 다시 건지고 이런 행동을 반복하다 보면 찌의 반응이
오게 됩니다.
정통 바닥 낚시 할 때도 찌의 움직임만 봐도 붕어가 왔다는 것을 알 수 있듯이 찌가 서기전에
"툭" 하고 움직이던가 내려가는 속도가 틀려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찌가 서면서부터 잠기기 전까지의 입질을 잡아내는데 사용합니다.
솔리드를 사용하는 찌들의 몸통은 대부분 갈대를 사용합니다.
둔하지만 반발력과 부상하는 힘이 커서 많은 분들이 사용합니다.
2) 무크를 사용할 때에는 1mm 스트레이트 탑을 주로 사용합니다.
무크 역시 솔리드이므로 떡밥을 잡아주지 못합니다.
다만 비중 면에서는 솔리드 보다 2배 가까이 됩니다.
무크는 붕어들의 활성도가 좋을 때 즉, 떨어지는 떡밥을 보고 와서 먹을 때처럼 활성도가
좋을 때 사용합니다.
"순진무구"하다고 할 때의 한자, 무구(無垢)를 일본식으로 발음한 것이 ‘무크’인 것을 보면
무크 찌는 활성도가 좋을 때 사용합니다.
3) 튜브 찌는 대부분 가는 튜브를 사용합니다. 주로 표층셋트 낚시에 사용합니다.
윗바늘 7cm에 아랫바늘 30cm정도가 기본이고 일본에서는 주로 우동을 입질용 떡밥으로
사용합니다.
찌다리는 솔리드, 카본, 대나무를 사용합니다.
솔리드는 공작과의 접합력이 우수해 하루에 300번 이상 투척하는 속공낚시에 많이 사용합니다.
다만 비중이 무겁고 길게 만들었을 경우 표면장력 때문에 빨리 서지 못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카본은 길게 가공 할 수 있기 때문에 표층낚시용 찌에 많이 사용합니다.
바람이 많이 부는 날도 빨리 설수 있기 때문에 일본에서도 카본 다리를 선호합니다.
대나무는 길게 만들면 부력이 높아져 찌가 서고 입수하는 과정이 늦어집니다.
또한 육각형 모양으로 가공하여 붙이지 않으면 시간이 지나면서 다리가 휘는 단점이 있습니다.
찌맞춤은 대부분 7~8목 기준 5목에 맞춰 사용합니다.
역시 찌가 빨리 서기 위함이고 찌톱이 수면으로 많이 나와 있으면 바람이 불거나 물결이 칠 때
찌톱이 흔들리게 됩니다.
표층낚시에서 가장 중용한 것은 입질을 파악하는 것입니다.
조사 분들이 낚시를 해 봐도 표층낚시는 정흡외에 몸통 걸림이 많은 낚시입니다.
일본에서도 과도한 붕어의 상승과 몸통 걸림으로 상처를 입는 것을 막기 위해 표층 1m 낚시는
금지 하는 곳이 많습니다.
표층낚시의 정흡을 높이기 위해서는 떡밥이 몰려있는 붕어 층에 들어가면 안 됩니다.
채비가 가라앉으면서 붕어가 따라 와서 먹는 형태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붕어가 있는 곳에 떡밥이 들어가면 99% 헛챔이나 몸통 걸림이 생깁니다.
이번에 방문한 "요코야마 덴스이" 씨는 집어제에 붕어가 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윗바늘(집어용)을 입질용 보다 작게 쓴다고 합니다.
그리고 입수하자마자 집어제는 확산이 되게 떡밥을 사용한다고 합니다.
찌가 서기전에 찌톱, 몸통이 흔들리는 입질, 찌가 똑바로 서기전에 45~60도 각도에서 들어가는
입질을 파악할 줄 알아야 정흡에 확률과 마릿수 조과를 올릴 수 있습니다.
이론과 현실은 많이 틀리겠지만 미흡한 부분이 있더라도 너그러운 마음으로 이해해 주시고
조금이나마 낚시하시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전층낚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림으로 배우는 떡밥 운용 (0) | 2006.05.04 |
---|---|
그림으로 배우는 바닥 상황 (0) | 2006.05.04 |
그림으로 보는 수심 측정법 (0) | 2006.05.04 |
내림낚시 올림대로는 안되는가 (0) | 2006.04.28 |
내림낚시 란? (0) | 2005.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