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중층낚시를 보급한 여러분들이 계시고 아울러 기법이 탁월하신 분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층낚시 운운"한다는 것이 못내 송구할
따름이다. 따라서 여기서 소개하고자 하는 내용은 필자가 그간 여러경로를 통해 배운 내용을 정리하는 수준임을 미리 밝힌다.
낚시대는
바닥낚싯대로 시작해서 나중에 자신에게 맞는 중층전용대 구입하면 됩니다.
우선 중층낚시를 즐기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낚싯대가
있어야한다.
중층낚시 초창기에는 중층낚시 전용낚싯대가 없었기 때문에 일반 바닥낚싯대를 사용하였다.
그러므로 중층낚시대를 구입할
계획이 없다면 다소 불편을 감수하고 일반낚시대를 사용해도 될 것이다. 하지만 중층낚시를 즐기다보면 중층전용대의 필요성을 곧 느끼게 되고 이를
구입하고자 할때 이러한 점을 참고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현재 시중에는 다양한 중층낚싯대가 유통되고 있는데 낚싯대의 특성이 조금씩
다른점이 있다.
보통 낚싯대는 휨새에 따라 연조. 중경조. 경조 등으로 구별할 수가 있는데 중층낚시에서는 중경조나 경조대를
사용한다.
낚싯대는 낚시인의 취향대로 선택해야겠지만 필자는 휨새가 경조인 낚시대를 가장 선호한다.
손맛을 즐기려면 중경조가
적당하겠지만 떡붕어의 특성과 중층낚시의 원리를 이해한다면 경조가 더 좋다는 생각이다.
경조대는 낚싯대를 펴보았을때
손잡이에서 초릿대까지 거의 일직선을 유지하고 있다.
그럼 왜. 경조대를 사용하는 것이 좋을까?
떡붕어는 회유성과 군집성을
보이는 어종이라는 점에서 토종붕어와는 다르다. 더구나 바닥층을 공략하는것이 아니라 수중의 중층을 노리는 낚시이기 때문에 미끼를 투척하여 입질을
받으면 낚은 붕어를 신속히 끌어내고 다음 미끼를 재빨리 투입하는 것이 좋은 조과를 얻게된다.
경조대를 선호하는 이유중 하나가 바로
이점이다.
붕어를 낚아서 천천히 손맛을 보면서 끌어내고 있을때. 물속에 있는 나머지 붕어들은 대류를 따라 흘러가는 물속의 먹이나 집어제의
입자를 받아 먹으며 함께 가버리는 것이다. 그리고 대형어를 걸어 손맛을 보고 있는 동안에 낚시에 걸린 붕어가 물속을 이러지리 휘젓고 다니면
나머지 붕어들은 어떻게 할까?
이런 상황은 중층과 다소 다른 이야기가 될지 모르지만 양어장 내림낚시를 할때도 같은 상황은
나타난다. 즉 챔질후 붕어를 걸었을때 신속히 포인트 범위에서 벗아난 후 손맛을 보든지 이후 갈무리를 해야 된다는 점이다. 그렇지 않다면 남아
있는 붕어들은 잔뜩 경계심을 갖고 흩어지게 되지 않을까?
중층을 해보면 한번 흩어진 붕어를 다시 모으는데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수있다. 물론 노지양어장. 하우스 내림도 마찬가지이다. 특히 경기낚시를 할때 더더욱 빠른 뒤처리가 우선일것이다. 그러므로 한번
집어된 붕어가 인위적으로 자신이 만든 포인트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미 바늘에 걸린 붕어를 신속히 처리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휨새가 빳빳한 낚싯대, 즉 중경조대를 선호하는 또 다른 이유는 중층낚시를 할때 채비투척을 거의 앞치기로만 하는데 경조대를 사용하면
낚싯대가 길더라도 앉은채로 투척하기가 용이하며. 특히 바람이 심한 날에도 별 무리없이 투척할수 있다. 더 중요한것은 바닥낚시에서도 마찬가지이듯
미끼를 한 자리에 투척해야하는데 이 점에서도 쉽게 투척할수가 있다.
또 하나 중층낚시에서 매우 중요시되는 것이 챔질이다.
중층낚시에서는 바닥낚시와 달리 순간적인 입질에 빠른 챔질을 해야 하는데 연질대에 비해 경조대를 사용하면 쉽게 챔질을 할 수 있고 특히
입질이 왔을때 "걸림"확률이 높다. 물론 경조대를 사용하면 단점이 있을수도 있으나 그보다 장점이 더 많다는 뜻이다.
끝으로 낚싯대
무게가 무거우면 상대적으로 손에 무리가 가고 쉽게 피곤하게 된다. 하루에 수백번 투척하고 챔질하는 과정에서 처음에는 느끼지 못하지만 손목을
상하는 경우도 있게 된다. 15척까지는 무게차가 그리 크지 않으나 그 이상의 긴 대를 선택할 때는 가능하면 가벼운것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고 본다.
'전층낚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층낚시 찌 이해하기(上) (0) | 2006.05.28 |
---|---|
전층 낚시 채비(그림) (0) | 2006.05.28 |
삼국(한,중,일) 낚시기법 (0) | 2006.05.28 |
그림으로 배우는 붕어 유인 (0) | 2006.05.04 |
찌의 어신과 챔질 (0) | 2006.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