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표준맞춤"(정좌형) 의 대상 어종(토종붕어)과 대를 드리우는 환경(자연저수지 및 강계)을 염두에 두셔야 합니다.
먼저 포인트를 정한 뒤 대를 투척하게 되면 찌의 부력보단 봉돌의 침력이 강하기 때문에 미끼의 하강속도가 영점채비보단 상대적으로 빠르게 진행되는 특징이 있지요
미끼의 상태는 일반적으로 약간 찰지며 부드러운 것이 좋습니다. 유료터의 미끼상태에 비하여 반죽 정도가 찰지며 손으로 주물러주는 횟수가 많아 덩어리 떡밥을 즐겨 쓴답니다. 또한 미끼의 푸슬푸슬한 상태 즉 , 투척 후 바로 풀어져 확산 되는 상태는 가급적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볼 수 있습니다
말씀 드린대로 일반 자연지에는 붕어 외에도 많은 어종들이 서식하고 있으며 주로 피라미라 불리우는 잔고기의 성화에 시달리게 되지요. 물론 떡밥의 상태는 말랑말랑하니 어린아이의 귓볼같이 부드러운 상태가 적당하고 그 크기는 "땅콩알" 또는 "콩알" 크기를 기본으로 하여 사용하는 것이 원칙이라 할수 있습니다.
물론 붕어의 씨알에 따라 미끼의 선택 및 크기를 정도를 달리 하여야 하나 이는 자연지 고유의 여건과 상황이 제각기 다르기 때문에 많은 차이점이 있기에 쉬이 거론하기가 어려운 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자연지 대물을 대상으로 한다면 여건과 환경이 다를지라도 몇 가지 공통점이 있는데 첫째로는 "새우"미끼 또는 바닥의 "참붕어"를 미끼 사용과 약간은 된듯한 (딱딱한) 떡밥을 사용 한다는 것이죠. 덩치가 큰 놈이 많이 먹을 수 있는 큰 미끼의 사용 즉, 어린 붕어들이 근처 있다 하여도 쉬이 먹기 힘든 미끼를 선택 하는 것입니다
이때는 유료터에서의 품질작업이 거의 없다고 볼 수 있을 정도로 "기다리는 낚시" 라 볼 수 있습니다. 근래의 낚시를 크게 두 방향으로 구분한다면, 첫째 일반 중국붕어 및 양식어종을 대상으로 하는 유료낚시 (영점맞춤)은 "붕어를 불러 모으는 낚시" 라 할 수 있으며, 둘째로 토종붕어 를 대상으로 한 일반 자연지의 낚시는 회유하는 고기를 "기다리는 낚시"라 할 수 있습니다
이는 "양식어종" 자연성장어종" 그리고 붕어의 서식 및 성장의 특징 이 뚜렷이 구분 되는데,먼저 유료터의 붕어는 매우 많은 량의 성어를 인위적으로 방류 하여 그 어자원이 조성 되고
자연지의 붕어는 자체 산란, 부화, 서식으로 성어로 성장하기 까지 90%정도의 부화 전 알과 치어들이 성장과정 속에서 타 어종의 먹이 활동으로 생태학적으로 먹이사슬의 먹이 감으로 되기 때문에 같은 군(群)의 개체수가 상대적으로 매우 적기 때문 입니다
유료터에서는 대를 드리우는 주변에 고기가 없다 하여도 "품질,집어" 작업으로 극복할 수 있으나 일반 자연지에서는 상대적으로 "서식 포인트"를 선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습니다 .
미끼의 운영 또한 이런 각기의 특성을 이해 하여 먹이(사료)를 받아먹던 양식어와는 달리 곡물성 떡밥을 기본으로 하여 제바닥 생미끼를 자연스럽고 조용한 상태에서 드리워야 하는 점을 반드시 이해하셔야 할 것 입니다.
-참고-
일반적으로 유료터에서 "집어"에 성공하였을 경우 흔히 "대를 넣으면 나온다" 라는 표현에 걸맞게 짧은 시간에 상당한 마릿수 (50~ 300마리) 까지 정신없이 건져낼 수 있는가 하면 자연지 및 강계에서는 회유하는 고기떼가 모여 들어 집어가 되어 흔히 말하는 "폭발적인" 입질을 받는다 하더라도 투척 후 연속적으로 5분 이내에 입질을 하는 경우는 극히 드문 이유 또한 여기에 있다 할 수 있습니다.
**붕어의 무리 군 (群)은 보통 같은 세대 한 고기의 알에서 산란 부화된 개체로 이루워지는데, 보통 양식어(붕어 향어)의 경우 한배의 고기가 성어로 자라는 마릿수가 약 3000미 정도라 합니다. 이에 비하여 자연지에서의 자체 산란된 것들이 성어로 성장하는 마릿수는 한배당 평균 100미를 넘지 못한다 합니다**. --1992년 "월간낚시" 수록 중에서" 기억을 더듬어서--
하여 자연지의 낚시를 "먼산낚시"라 하기도 하는데 이는 대를 드리워 놓고 먼산을 한번 보고... 별도 보고... 달도 보고... 풀벌레 소리도 들을 수 있는 여유 또한 낚을 수 있는 멋진 낚시라 할 수 있습니다
자 !..이제....돌리고 드리우는 대에 별도 걸고 구름도 낚아 봅시다 .!... 육중한 놈들의 묵직하고 여유로운....밤하늘을 가르는 "환상의 찌 올림"을 만끽 해봅시다!...
이어서 "마이너스 채비"편이 이어 집니다....
먼저 포인트를 정한 뒤 대를 투척하게 되면 찌의 부력보단 봉돌의 침력이 강하기 때문에 미끼의 하강속도가 영점채비보단 상대적으로 빠르게 진행되는 특징이 있지요
미끼의 상태는 일반적으로 약간 찰지며 부드러운 것이 좋습니다. 유료터의 미끼상태에 비하여 반죽 정도가 찰지며 손으로 주물러주는 횟수가 많아 덩어리 떡밥을 즐겨 쓴답니다. 또한 미끼의 푸슬푸슬한 상태 즉 , 투척 후 바로 풀어져 확산 되는 상태는 가급적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볼 수 있습니다
말씀 드린대로 일반 자연지에는 붕어 외에도 많은 어종들이 서식하고 있으며 주로 피라미라 불리우는 잔고기의 성화에 시달리게 되지요. 물론 떡밥의 상태는 말랑말랑하니 어린아이의 귓볼같이 부드러운 상태가 적당하고 그 크기는 "땅콩알" 또는 "콩알" 크기를 기본으로 하여 사용하는 것이 원칙이라 할수 있습니다.
물론 붕어의 씨알에 따라 미끼의 선택 및 크기를 정도를 달리 하여야 하나 이는 자연지 고유의 여건과 상황이 제각기 다르기 때문에 많은 차이점이 있기에 쉬이 거론하기가 어려운 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자연지 대물을 대상으로 한다면 여건과 환경이 다를지라도 몇 가지 공통점이 있는데 첫째로는 "새우"미끼 또는 바닥의 "참붕어"를 미끼 사용과 약간은 된듯한 (딱딱한) 떡밥을 사용 한다는 것이죠. 덩치가 큰 놈이 많이 먹을 수 있는 큰 미끼의 사용 즉, 어린 붕어들이 근처 있다 하여도 쉬이 먹기 힘든 미끼를 선택 하는 것입니다
이때는 유료터에서의 품질작업이 거의 없다고 볼 수 있을 정도로 "기다리는 낚시" 라 볼 수 있습니다. 근래의 낚시를 크게 두 방향으로 구분한다면, 첫째 일반 중국붕어 및 양식어종을 대상으로 하는 유료낚시 (영점맞춤)은 "붕어를 불러 모으는 낚시" 라 할 수 있으며, 둘째로 토종붕어 를 대상으로 한 일반 자연지의 낚시는 회유하는 고기를 "기다리는 낚시"라 할 수 있습니다
이는 "양식어종" 자연성장어종" 그리고 붕어의 서식 및 성장의 특징 이 뚜렷이 구분 되는데,먼저 유료터의 붕어는 매우 많은 량의 성어를 인위적으로 방류 하여 그 어자원이 조성 되고
자연지의 붕어는 자체 산란, 부화, 서식으로 성어로 성장하기 까지 90%정도의 부화 전 알과 치어들이 성장과정 속에서 타 어종의 먹이 활동으로 생태학적으로 먹이사슬의 먹이 감으로 되기 때문에 같은 군(群)의 개체수가 상대적으로 매우 적기 때문 입니다
유료터에서는 대를 드리우는 주변에 고기가 없다 하여도 "품질,집어" 작업으로 극복할 수 있으나 일반 자연지에서는 상대적으로 "서식 포인트"를 선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습니다 .
미끼의 운영 또한 이런 각기의 특성을 이해 하여 먹이(사료)를 받아먹던 양식어와는 달리 곡물성 떡밥을 기본으로 하여 제바닥 생미끼를 자연스럽고 조용한 상태에서 드리워야 하는 점을 반드시 이해하셔야 할 것 입니다.
-참고-
일반적으로 유료터에서 "집어"에 성공하였을 경우 흔히 "대를 넣으면 나온다" 라는 표현에 걸맞게 짧은 시간에 상당한 마릿수 (50~ 300마리) 까지 정신없이 건져낼 수 있는가 하면 자연지 및 강계에서는 회유하는 고기떼가 모여 들어 집어가 되어 흔히 말하는 "폭발적인" 입질을 받는다 하더라도 투척 후 연속적으로 5분 이내에 입질을 하는 경우는 극히 드문 이유 또한 여기에 있다 할 수 있습니다.
**붕어의 무리 군 (群)은 보통 같은 세대 한 고기의 알에서 산란 부화된 개체로 이루워지는데, 보통 양식어(붕어 향어)의 경우 한배의 고기가 성어로 자라는 마릿수가 약 3000미 정도라 합니다. 이에 비하여 자연지에서의 자체 산란된 것들이 성어로 성장하는 마릿수는 한배당 평균 100미를 넘지 못한다 합니다**. --1992년 "월간낚시" 수록 중에서" 기억을 더듬어서--
하여 자연지의 낚시를 "먼산낚시"라 하기도 하는데 이는 대를 드리워 놓고 먼산을 한번 보고... 별도 보고... 달도 보고... 풀벌레 소리도 들을 수 있는 여유 또한 낚을 수 있는 멋진 낚시라 할 수 있습니다
자 !..이제....돌리고 드리우는 대에 별도 걸고 구름도 낚아 봅시다 .!... 육중한 놈들의 묵직하고 여유로운....밤하늘을 가르는 "환상의 찌 올림"을 만끽 해봅시다!...
이어서 "마이너스 채비"편이 이어 집니다....
'붕어낚시 교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붕어의 종류 (0) | 2007.04.11 |
---|---|
찌맞춤 5 - 마이너스 찌맞춤 (0) | 2007.04.11 |
찌맞춤3 - 표준찌맞춤 (0) | 2007.04.11 |
찌맞춤2 - 영점찌와 미끼운용 (0) | 2007.04.11 |
찌맞춤 1 (영점찌맞춤) (0) | 2007.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