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 雷火豊
豐 亨 王 假之 勿憂 宜日中. (풍 형 왕 격지 물우 의일중)
풍은 형통하니, 왕에 이르러 근심치 않으면 마땅히 해가운데 하니라.
彖曰 豐 大也 明以動 故 豐. (단왈 풍 대지 명이동 고 풍)
王假之 尙大也. 勿憂宜日中 宜照天下也. (왕격지 상대야 물우의일중 의조천하야)
日中則昃 月盈則食. 天地盈虛 與時消息 而況於人乎 況於鬼神乎.
(일중즉측 월영즉식, 천지영허 여시소식, 이황어인호 황어귀신호)
단전에 이르길 풍은 큰것이니, 밝음으로 움직임이라, 그러므로 풍이니,
왕격지는 숭상함이 큰것이요, 물우의일중은 마땅히 천하를 비침이라
해가 중천에 뜨면 기울어지며, 달이 차면 이그러지나니,
천지가 차면 비워지고 때로 더불어 줄고 부는데 하물며 귀신이 아닌 사람이야
象曰 雷電皆豐 君子以 折獄致刑. (상왈 뇌전개지 풍 군자이 절옥치행)
상전에 이르길 우뢰와 번개가 다 이르는 것이 풍이니,
군자가 이로써 옥을 끊고(판결하고) 형벌을 이루느니라
卦象 가득 곡식이 여문 들판. 어둠을 등지고 밝은 곳으로 향하는 象.
해가 강하면 그늘이 깊듯이 결실이 많은 때이지만 빨리 거두어야 한다. 곧 태풍과, 지진이 있다.
창고에 거두지 않는다면, 대부분의 결실을 잃을 수 있다. 현재는 명예와 재물이 있다.
결단을 내려 나쁜 운을 대비해야 할 때를 이르는 것이다. 일을 확대하지 말고 축소하도록 한다.
“豊”은 풍족하다는 뜻. 현재 매우 풍요로운 상태에 있으며 일생의 절정에 와 있다.
매우 왕성한 운에 있음을 암시한다. 그런데 문제는 지금부터이다. 서서히 쇠운(衰運)이 도래하고 있다.
표면은 화려해도 내면에서는 고민이 싹트기 시작한다.
易의 원문을 보면 상육(上六)의 효사(爻辭)에 매우 비참한 상황이 묘사되어 있다.
옛사람은 “잔화(殘花)가 찬비를 기다리는 象”이라 하여 이 卦를 얻은 사람의 장래를 크게 걱정하였다.
이 卦를 얻은 사람 남과의 의견 충돌을 삼가야 한다. 일단 말썽이 생기게 되면 성운의 정상에서 단번에 나락(奈落)으로 떨어지게 된다.
현재 정상적인 궤도를 달리는 사람이라면 전진보다는 내실을 기하는 것이 좋다.
결실과 풍요로움을 뜻하므로 농업에는 더할 나위 없이 좋으며 여성에게는 결혼.임신을 뜻한다.
그리고 화려한 일에 종사하는 사람에게도 매우 좋다.
'주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57번째 중풍손(重風巽), 손위풍 (0) | 2008.10.13 |
---|---|
56번째 화산여(火山旅) (0) | 2008.02.14 |
54번째 뇌택귀매 (雷澤歸妹) (0) | 2007.12.20 |
[스크랩] 삼족오 마크 (0) | 2007.11.07 |
공자의 십익 (0) | 2007.09.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