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

56번째 화산여(火山旅)

천부(泉扶) 2008. 2. 14. 16:41

火山旅 <화산여>


旅(여)는 小亨(소정)코 旅貞(여정)하야 吉(길) 하니라.

 => 여는 조금 형통하고 나그네가 바르게 해서 길 하니라.

彖曰(단왈) 旅小亨(여고형)은 柔(유) 得中乎外而順乎剛(득중호외이순호강)하고 止而麗乎明(지이려호명)이라.

=> 단전에 이르길 여소형은 부드러움이 밖에서 중을 얻어 강에 순하고 그치고 밝은데 걸림이라

是以小亨旅貞吉也(시이소형여정길야)이니 旅之時義 大矣哉(여지시의 대의제)라

=> 이로써 소형여정길야니 여의 때와 의가 크도다.

象曰(상왈) 山上有火(산상유화) 旅(여)이니 君子以(군자이)하야

明愼用刑(명신용형)하며 而不留獄(이불유옥)하나니라.

=> 상전에 이르길 산위에 불이 있는 것이 여이니 군자가 이로써 형벌쓰는 것을 밝게 하여

삼가 옥사에 남기지 아니 하니라.

 

불이 산위에 걸려 있는형상으로 즉  저녁노을이 산마루에 걸렸다.  외로운 나그네가 쉴곳을 찾는 象.

지는 해를 바라보고, 나그네가 힘든 몸을 의탁할 장소를 찾고 있는 모습이다.

피로하고 지치고 아프고 몹시 시장한 여행자를 생각해 보라. 대개 불길한 괘다.

금전적으로 낭비가 심하고 풍류와 여행의 상이다. 변동수이고 이사수이다.

일에 장애가 많아 그것을 역마살로 푼다면 소길하다. 단지 화려하고 사치한 일의 종류에만 길하다.


“旅”글자 그대로 여행․나그네를 뜻하며 고독,․ 애수, 그리움을 상징한다.

여행이 즐거운 것으로 인식되기 시작한 것은 최근의 일이다. 옛날엔 여행이라고 하면 그야말로 고행(苦行)이었다.

현대에 사는 우리로서는 도저히 그 고통스러움을 상상할 수 없다.

旅卦는 길고 긴 여정(旅程)에 지칠 대로 지친 나그네의 가련한 모습을 그린 卦이다.

이 卦를 얻은 사람, 우수에 젖은 슬픈 미소의 주인공이다. 높은 철학과 이지(理智)를 지녔음에도 따르는 사람이 없다.

가정도 적막하고, 주변도 적막하다. 활동력을 요구하는 일보다 조용히 사색연구하는 일에 적합하다.

여성이 이 卦를 얻었다면 그 여성은 괴로운 생활 속에서도 희망을 버리지 않고 굳세게 살아가는 미망인이거나 옛 추억을 간직한 채 홀로 살아가는 독신녀이다.

숙명적으로 외로움을 타고난 사람에게서 자주 볼 수 있는 卦이다. 이 卦는 외면 생활의 곤궁함을 뜻하지만 한편으로는 그로 인한 내면세계의 성장을 암시한다.

사업, 건강, 결혼, 소송 등에는 매우 불길하지만 진학․ 연구생활․ 창작 활동 등에는 매우 좋다.


'주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58번째 중태택 (重兌澤) 태위택  (0) 2008.10.13
57번째 중풍손(重風巽), 손위풍  (0) 2008.10.13
55번째 뇌화풍(雷火豊)  (0) 2008.01.18
54번째 뇌택귀매 (雷澤歸妹)  (0) 2007.12.20
[스크랩] 삼족오 마크  (0) 2007.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