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학

합이불합자 5

천부(泉扶) 2017. 11. 4. 17:28

<옛책에서 정관을 합하면 귀하게 되지 못한다고 하였는데 지당한 말이지만,

어떤 사람들은 일간의 합도 합으로 보아야 하고 지지의 합도 합이라고 한다.

예컨대, 辰酉合, 卯戌合 등을 모두 합관(合官)으로 여기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

 

서락오 평주: 정관을 합하면 귀하지 못하다고 하는 말은 [삼명통회]에서 자세히 논하고 있다.

한신끼리 합하면 합관망귀, 합살망천이 되는 것이지만, 일간이 정관과 합하는 것은 합관이 되어서

귀하게 된다고 보아야 한다. 요즘 사람들이 그 이치를 잘 살피지도 않고 함부로 득실을 논하니

착오가 생겨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천간의 합에는 합화(合化)하는 경우도 있고, 합화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원문에서는 이 문제를 언급하지 않았기에 부연 설명을 하겠다. 무엇을 일컬어 화라고 하는가?

천간(화하는 오행)이 지지에 통근하여 승왕(乘旺)한 것이다. 예컨대,

 

乙 癸 乙 庚

卯 未 酉 申

주가보의 명조이다. 천간의 乙庚合이 지지에 申酉가 있으니 으로 화한다.

일간이 인성의 생조를 얻었으니 시간의 乙卯를 설기하는 용신으로 삼는다.

소위 인격용식(印格用食)이다.

 

庚 丁 乙 庚

戌 丑 酉 申

 

벙어리의 명조이다. 역시 으로 화한다. 화한 이 재성인데 용신인 인성을 파괴하여 나쁜 것이다.

 

丁 丙 壬 丁

酉 子 寅 亥

 

지지가 寅亥合하여 이 되었는데 그 위의 천간이 丁壬합이 되니 으로 화한다.

은 이 사주의 인성(印星)이니 인성으로 화한 것이다.

 

庚 丙 戊 癸

寅 午 午 巳

지지에 巳午가 있으니 천간의 戊癸合로 화한다. 화한 오행이 겁재가 된다.

위 두개의 사주는 [적천수징의(滴天髓徵義)]의 형제장(兄弟章)에 나오는 것이다.

 * 일간이 합하여 화하는 것은 화기격(化氣格)인 경우에 국한된다.

 

甲 壬 丁 己

辰 午 卯 卯

 

의 기운이 완성한 卯月에 나고, 의 원신(原神)이 천간에 투출하니 丁壬合하여 으로 화한다.

 

己 甲 壬 戊

巳 辰 戌 辰

 

가 왕성한 戌月에 출생하고 년주가 戊辰이라 의 원신이 천간에 투출하니 화한 오행의 기운이 충분하다.

甲己가 합하여 로 화하니 화토격(化土格)이다. [적천수징의]에 나오는 사주이다.

 

화기(化氣 : 화한 오행)에는 진()과 가()의 구별이 있다.

위의 두 사주는 진화(眞化)로서 화기가 충분하고도 남음이 있다.

그런데 일간이 지지에 통근하거나 비겁과 인성이 있는 경우도 있고,

일주가 지지에 뿌리가 없어도 화한 오행의 기운이 부족한 경우도 있다.

심지어는 합화가 진()일지라도 한신이 있어서 화한 오행을 상하게 하는 경우도 있다.

 이상의 경우에는 가화(假化)가 된다.

 

己 甲 甲 己

巳 子 戌 卯

2, 2가 각자 서로 합하였고, 卯木이 있지만 戌土와 합하니 를 방해하지 못한다.

꺼리는 것은 일간 이 일지에서 子水의 인수를 얻어서 로 화하지 못한 것이다.

따라서 가화(假化)가 되었다.

 

辛 壬 丁 甲

亥 辰 卯 辰

 

丁壬合이데 월령이 卯木이니 진정으로 화()한다. 그러나 시간에 辛金이 화기()를 극하였다.

다행하게도 辛金이 뿌리가 없으니 가화가 되었다. [적천수징의]에 나오는 명조이다.

진화격(眞化格)이든 가화격(假化格)이든 모두 운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운에서 사주의 병()을 제거할 때는 비록 가화격이라고 해도 진화격과 다름이 없고,

비록 진화격이라고 해도 운의 도움을 받지 못하면 역시 발전이 없다.

화기격에 대한 더 자세한 설명은 [적천수징의]를 보기 바란다.

 

화기격(化氣格)에 있어서는 단지 화합하는 두개의 천간만이 화기가 되는 것이고 여타의 간지는 화하지 않는다.

요즘 사람들이 그 이치를 모르고 [화기십단금(化氣十段錦)]의 학설만 가지고 사주 간지와 행운의 간지가

화하기만 하면 화기격으로 보니, 이는 매우 잘못된 것이다. 화신(化神)이 왕성해지는 인비(印比:화신의 인비)가 좋고,

화신을 극설하는 것은 나쁘다. 그래서 이렇게 부연 설명하는 바이니 착오 없기 바란다.

* 천간의 합은 반드시 지지의 도움을 받아야 비로소 화기(化氣)가 될 수 있다. 지지의 삼회(三會)와 육합(六合) 역시

반드시 천간의 도움을 얻어야 비로소 합하여 화하게 된다. 그 중에서도 출생한 의 기후를 따르는 것도

아주 중요하지만 사주 간지의 배합을 살피는 것이 필수적인 것이다. 아래에 두 가지 예를 든다.

 

己 戊 丁 己

未 子 丑 未

子丑이 합했는데 천간에 戊己丁火土가 있으니 子丑의 합은 필히 로 진화(眞化)하니 가색격(稼穡格)이 되었다.

 

壬 丙 癸 壬

辰 午 丑 子

 

子丑합이 되었는데 천간에 壬癸水가 투출했으니 子丑이 합했으나 로 화하지는 못한다.

그러므로 칠살이 왕하고 신약한 형상이다.


'명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합이불합자 4  (0) 2017.10.18
합이불합자 3  (0) 2017.09.28
합이불합자 2  (0) 2017.09.17
※ 합이불합자(合而不合者) 1  (0) 2017.09.09
干論秘訣 10  (0) 2017.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