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약용)상식

수험생 한약

천부(泉扶) 2006. 5. 7. 18:07

수험생들이 공부하는 데 있어 가장 큰 장애물은 불안감과 졸음이다.

불안감과 졸음은 머리를 산만하게 하거나 기억력을 떨어뜨리기 때문이다.

 

공부에만 쫓기다 보면 사고과다로 인해 허화(虛火)가 심하여 정허증(靜虛症)이 생겨서, 뇌에 맑은 공기와 영양물질의 공급이 원만하지 못하다. 이런 경우 옛선비들이 과거시험에 응시할 때 먹었던 한약처방을 사용해도 좋을 것이다.

 

먼저 불안감을 없애려면 인삼과 대추를 달여 먹거나 두 가지를 섞어 먹는 것이 좋다.

인삼은 마음을 안정시키는 데 효능이 있고, 대추는 그 특유의 단맛이 체내에 서 긴장을 풀어주고 진정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그리고 졸음을 쫓고 싶을 때에는 카페인이 들어 있는 각성제나 커피를 마시지 말고, 천연 카페인이 함유되어 있는 녹차를 마시는 것이 좋다. 녹차에는 커피보다 더 많은 카페인이 들어 있지만 부작용이 전혀 없다. 단, 혈압이 낮은 사람이나 장이 나빠 설사를 잘하는 사람은 피해야 한다.

 

졸음을 쫓는 데에는 식사와 운동요법도 효과적이다. 뚱뚱한 사람은 소식요법으로 졸음을 쫓을 수 있으며 마른 사람은 매일 적당한 운동으로 졸음을 쫓을 수 있다.

 

운동은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산소공급을 원활히 해 머리를 맑게 해주기 때문이다.

이 밖에 산만해진 사고력을 집중시키는 데에는 인삼과 오미자가 좋고, 당귀, 원지, 창포 달인 물은 기억력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수험생 주요 보약

>> 총명익지방(聰明益智方)-총명탕(聰明湯)

재료 : 각각 같은 양의 용골 호골(虎骨) 원지

효능 : 각각의 재료를 섞어 분말로 만든 후 하루 2~3회 한 번에 5g 정도 물이나 술에 타서 복용한다. 오래 복용하면 건망증이 없어지고 총명해지고 지혜로워진다. 달여 먹여야 약이 된다.

 

>> 경옥고(瓊玉膏)

재료 : 인삼 32g 생지황 32g 복령 64g 흰꿀 208g

효능 : 경옥고를 복용하면 ‘ 수혈(髓血)을 채워 주고 흰머리를 검게 하며, 회춘을 도와 움직이는 것이 분마(奔馬-달리는 말)와 같다. 의지가 강해지고 하루에 만언(萬言)을 외우고 신식고매(神識高邁)하게 된다’고 < 음선정요(飮膳正要>에 되어 있다. 연고 상태로 된 것을 구입할 수 있다.

 

>>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

재료 : 인삼 2.5g 황기 2.5g 백출 3.5g 당귀 3.5g 복령 3.5g 숙지황 3.5g 천궁 3g 계지 3g 감초 1g

효능 :송(宋)대에 남아 있던 명방을 모았다는 <화제국방(和劑局方)>에 수록되어 있는 방제로 사용법은 보중익기탕과 비슷하다. 약용주로 사용해도 효과적이다. 수술 후의 체력 회복에 많이 이용된다. 빈혈기가 있고 쉽게 피로를 느끼며 기운이 없는 사람들에게 기력을 돋우어 준다.

>> 인삼탕

재료 : 인삼 3g 감초 3g 백출 3g 건강 2g

효능 : <상한론>에 나오는 방제로 위장이 약해서 식욕이 없고 설사를 잘 하며, 그 때문에 피로하고 기운이 없는 사람에게 사용한다. 위장계 질환이면 모두 효과가 있지만 잘 흥분되고 혈압이 높은 사람은 많이 먹지 않도록 한다. 위장계 체력 강화제는 이 처방이 바탕이 되고 있다. 특수한 용법으로서 긴장하면 타액이 많이 나오는 사람에게 효과적이며 정제와 액기스제가 시판되고 있다.

 

>> 보중익기탕

재료 : 황기 4g 인삼 4g 백출 3g 당귀 2g 진피(陳皮) 2g

         대추 1.5g 시호 0.5g 건강 0.5g 승마(升摩) 0.5g

효능 : 중국 금(金). 원(元)시대에 이동원(李東垣)이 라는 명의가 만든 처방으로 현대에서도 체력, 기력을 돋구는 대표적인 약으로 사용되고 있다. 안색이 창백하고 쉬 피로하며, 식욕이 없고 아무리 쉬어도 피로가 걷히지 않고 그저 누워 있으려만 하는 사람에게 사용한다. 복용 후 1~2개월에 체력이 붙고 기운이 넘친다. 정제. 산체가 시판되고 있다.

'건강(약용)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름에 먹는 보약  (0) 2006.05.07
호박 예찬  (0) 2006.05.07
수삼 보관법 , 복용법 , 뿌리별 용도  (0) 2006.05.07
민물고기(붕어,잉어,장어,가물치..)  (0) 2006.05.04
개와 염소  (0) 2006.05.04